냉간가공[cold working] 피가공재를 특히 가열하지 않고 하는 소성가공.피가공재를 빙점 하에 냉각해서 하는 저온가공은 크라이제닉가공으로 불리운다. 냉간가공에서는 표면산화 등의 표면손상이나 열팽창에 의한 치수의 편차가 작으므로 제품의 마무리를 치수대로 하는 것이 기대된다. 재료의 강도와 경화가 크므로 대형제품의 가공이나 고가공도의 공정은 곤란하다
냉각곡선[cooling curve] 물질을 고온에서 냉각했을 때의 냉각과정을 나타내는 곡선으로 온도 대 시간의 플롯이다. 열발생, 흡수가 있는 변태점, 예를들면 액상선, 고상선, 공정온도, 변태점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내화물[refractory materials] 통상의 금속제련에서는 고온에서 이루어진다. 또 제련로(製鍊爐)에 한정되지 않고 고온의 가열로도 리 쓰이고 있다. 이들 노의 내측에는 고온의 불이 접촉되므로 이것에 견딜 수 있는 재료가 내화물이다. 제련로에 요구되는 조건은 ①고온에서 녹지 않고 원형으로 유지될 것, 즉 내화도가 높을 것 ②용융금속, 슬래그, 노내분위기와 반응하지 않고 안정할 것 ③가열, 냉각에 따라 팽창수축도가 작고 스폴링 저항이 높을 것 ④열전도율이 작고 보온성이 좋을 것 ⑤고온강도가 높을 것 ⑥장입물의 낙하나 이동에 의한 마모에 견딜 것 ⑦풍부하게 존재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염가일 것 등이 있다. 이것들은 모두 만족할 필요가 없는데 예를들면 열풍로의 돔과 같이 고온의 화염에 접촉되는 부분은 ..
내열합금[heat resistant alloy] 보일러, 증기터빈, 에틸렌제조장치, 항공기의 제트엔진 및 발전용 가스터빈 등 고온에서 운전되는 장치나 기기는 많고,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온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그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금속재료는 고온에서의 기계적 강도를 가짐과 동시에, 고온산화, 고온부식에 대한 저항성이 요구된다. 내열강이나 내열합금은 이 양자의 성질을 만족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말해 금속의 기계적성질은 온도가 상승하면 매우 저하한다. 예를들면 탄소강의 항복강도는 350℃ 정도가 되면 약 2/3로 되어 버린다. 금속의 고온강도는 녹는점이 높은 금속만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실온에서 무른 금속이나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내식성의 기본이 되는 산화물이 불안정한 금속은 사용할 수 없다...
내열강[heat resisting steel] 고온강도, 고온에서의 내산화성, 내고온부식성을 가지고 고온에 견디는 철강재료, 고온의 정의로서 명확한 정의는 없으나, 공업적으로는 일반적으로 약 350℃ 이상의 온도를 가리킨다. 다종다양의 내열강으로 Mo강(SBM), Cr -Mo강(SCMV) 등의 저합금계, 10% 이상의 Cr을 주성분으로 하여 함유하는 페라이트계(SUH) 또는 마르텐사이트계(SUH), Cr과 함께 Ni를 다량 함유하는 오스테나이트계(SUH와 SUS)로 분류할 수 있다(괄호 안은 JIS의 강종기호). 내열합금은 Fe의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초합금(소위 철기초합금)이다. 그림에 나타난 이외의 용도로는 공업로용재료, 원자로의 압력용기재, 증기터빈이나 발전기의 축재(軸材), 배기가스 정화장치의 재..
내식합금[corrosion resistant alloy] 이 명칭은 광의로는 내식성을 가진 합금의 총칭이라고도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협의에 중점을 두어 니켈기내식합금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염산 등 환원성 환경 중에서도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는 니켈기합금의 총칭이라는 것이 내식합금의 정의이다. 여기서 최초로 각종 내식성재료 중에서 니켈기합금이 이런 큰 명칭으로 불리우게 된 이유를 설명하고자 한다. 잘 알려져 있는 내식성재료로는 스테인리스강이 있다. 이 재료는 10.5% 이상의 Cr을 첨가하고 표면에 치밀한 산화물 피막을 형성시켜서, 그 보호작용에 의해 내식성을 높인 철기합금이다. 그 때문에 산화성 환경 중에서는 우수한 내식성을 나타내나 산화성 환경 중에서의 내식성은 떨어진다. 그 개선으로 철보다 비활성..
내식강[corrosion resistant steel] 합금성분을 첨가하여 내식성을 향상시킨 강을 내식강이라고 하고, 첨가량의 대소에 따라 저합금내식강, 고합금내식강 등이라고 하는데 그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저합금내식강는 1~2% 이하의 합금원소를 첨가한 것으로 내후성강, 내해수강, 내황산 노점 부식강과 같이 특정환경 하에서 부식에 의한 감육(減肉)을 저감시킨 것, 내홈형부식 전봉강관과 같이 용접부의 선택적인 부식에 견디는 것, 내황화물 응력부식균열강과 같이 특정의 응력부식균열에 강한 것 등이 있다(다음 페이지 참조). 보일러․열교환기용합금강관(JIS G 3462) 이나 어느 종의 보일러 및 압력용기용강판(JIS G 3103, 4109 등)은 0~9% Cr-0.5 ~1% Mo인 화학조성의 강으로, 보통 내..
내부마찰[internal friction] 금속에 진동적인 기계적에너지를 부여할 때 그것이 외부환경의 영향이 아닌 자신이 감쇠해가는 현상. 감쇠능, 덤핑, 내모(內耗) 등이라고도 한다. 불순물이나 격자간원자의 단범위인 왕복이동(스뇌크피크), 전위선의 진동(보르도니피크), 전위선 핀멈춤에서의 엇갈리기(그라나트-뤼케모델), 전위킹크, 결정립계의 엇갈리기, 강자성체에서는 자벽의 운동 등으로 생긴다. 헤르츠 오더에서 메가헤르츠 오더까지 주파수 범위에 따라 각각 다른 측정장치가 있고, 내부마찰의 강도 즉 에너지흡수강도의 주파수․온도의존성에 의해 금속내부의 제(諸)물성, 주로 격자결함의 다양한 정보가 얻어진다. 내부마찰의 강도는 ①주기적외력의 경우 1주기 중에 잃어버린 에너지의 전탄성에너지에 대한 비(比)로 정의되..
내력[proof stress] 내력강도라고도 한다. 재료의 인장 실험에 있어서 황동이나 알루미늄합금 등의 금속재료는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처럼 명확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는 재료에서는 0.2%의 영구 변형에 대응하는 응력의 값을 내력이라고 부르며, 항복응력에 상응하는 값으로 다룬다. 따라서 항복점을 나타내지 않는 재료의 강도 계산에서는 내력의 값을 기준강도로 사용한다.
납황동[leaded brass] 황동에 Pb를 1~4% 정도 첨가한 Cu- Zn-Pb합금으로, 특히 피삭성에 우수하다.
납형법[lost wax process] 로스트왁스법이라고도 한다. 정밀주조법의 일종으로 납으로 모형을 만들고, 그것을 사형(砂型) 속에 묻어서 주형을 건조 후 납을 녹여 유출시켜서 생겨난 공동(空洞)에 금속을 주입․주조하는 방법으로, 일본에서는 옛날부터 미술품의 주조에 사용되었다.
납합금[lead alloy] 납(Pb)은 유연하기 때문에 금속패킹, 방음, 방진 등 고유의 용도가 있는데, 구조용 재료로는 합금화 등에 의해 약간 단단해질 필요가 있다. Pb-Sb합금은 1~9 mass%의 범위에서 케이블시스, 수도연관, 압연판, 압출파이프재, 축전지용 그리드메탈 등에 사용된다. Pb-Sb-Sn합금에는 베어링용 화이트메탈이나 활자용합금, 케이블시스용합금도 있다. Pb-10~25mass% Sn합금에서 강판을 도금한 턴시트는 자동차용 가솔린탱크, 라디에이터부품, 유용기 등에 쓰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