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하드[Ni-hard] Robins Conveyors사(미국), Internation Nickel사(미국), Thomas Foundries사(미국), Sheepbridge Alloy Casting사(영국), Follsain Wycliffe Foundries사(영국) 등의 Ni-Cr 칠드주철. 각사에서 다품종이 있다. 내마모성, 내식성에 우수하기 때문에 피스톤, 실린더, 실린더라이너, 클러치, 프레임, 크러셔, 롤, 피더베인 등에 쓰인다. 니하드∶C 3.2~3.8%, Si 0.3~0.8%, Mn 0.3~0.8%, Ni 3.5~5.5%, Cr 1.5~2.5%, 나머지 Fe. 니하드타입3∶C 1.0~1.6%, Si 0.4~0.7%, Mn 0.4~0.7%, Ni 4.0~4.75%, Cr 1.4~1.6%, 나머지..
니티놀[Nitinol] Ni50%, Ti50%를 중심 조성으로 하는 합금으로 최초로 발견된 형상기억합금의 상품명. 어느 종의 마르텐사이트변태에 있어서 변태온도(Af점) 이상(모상. 여기서는 오스테나이트)에서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형상으로 가공하고, 이어서 일단 변태점(Mf점) 이하(마르텐사이트)에서 가지고 가거나 끼어넣는 등에 사용하는데 편리한 형상으로 변형한다 최종 사용시에는 다시 변태점 이상으로 가열하여 모상(母狀)으로 하면(역변태) 최초로 가공한 사용형상으로 돌아온다. 이것이 형상기억이다. 형상기억합금으로 구해지는 특성으로서 ①변태온도를 제어할 수 있을 것, ②변형․회복을 반복해도 기억에 열화가 없을 것, ③회복하고자 하는 힘이 어느 정도 클 것, ④형상이 완전히 회복할 것, ⑤제조가 쉬울 것, 코스..
니켈합금[nickel alloy] 니켈(Ni)합금은 자성, 전기, 내열 및 내식재료 등 용도가 넓다. ①자성재료 Ni합금은 합금원소에 의한 각종 자성재료가 된다. Ni-20~30% Fe합금은 퍼멀로이라고 하여 고투자율재료이다. Ni-50~60% Fe합금은 자기장의 강도가 변화해도 투자율이 변화하지 않는 항(恒)투자율재료가 된다. 또 35.5% Ni- Fe합금은 합금의 자성이 기인이 되어 열팽창계수가 극히 작은 인바(언바)가 된다. 조성을 선택하면 열팽창계수를 변화할 수 있으므로 유리봉입용의 합금으로서 유리와 같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뒤멧(40~50% Ni-Fe), 코발트9% Ni-18% Co- Fe)가 만들어지고 있다. 37.5% Ni-12% Cr-Fe에서는 강성율의 온도변화가 작은 엘린바가 된다. 또 F..
니켈도금[nickel plating] 니켈도금의 용도는 장식, 방식, 전주(電鑄), 기타 특수용 등이다. 도금욕에는 황산니켈, 염화니켈, 붕산으로 되어 있는 와트욕과 그 유사욕, 더욱이 염화니켈 대신에 염화암모늄을 사용하는 복염욕이나 술파민산욕 등이 있다. 무광택니켈도금 및 광택니켈도금 이 있는데, 광택도금은 와트욕에 술폰산나트륨염의 광택제(brightener)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진다. 광택도금에는 광택제에 유래하는 유황이 함유되므로 무광택니켈의 외층에 광택도금을 형성시키는 다층도금에 의해 부식을 외층에 평행한 표면에 진행시켜서 바탕금속의 부식이 시작될 때까지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다.
니켈[nickel] 고대 사람들은 우주에서 비래하는 운철을 가공하여 도구나 검(劍)을 만들어 왔다. 이 운철은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녹이 없으므로 자연은(自然銀)과 틀림이 없다는 것을 알았다. 또 중국에서는 고대부터 백동(白銅)이라고 불리우는 니켈합금을 사용하여 왔다. 니켈은 1751년에 크륀스터트가 발견하였으나 망간으로 탈산하여 니켈을 정련하는 방법이 1879년에 발명될 때까지는 비철합금으로 사용되었다. 1910년 이후는 주로 스테인리스강에 사용되고 있다. 니켈은 아름다운 은백색의 금속으로 원소기호 Ni, 원자번호 28, 원자량 58.69, 녹는점은 1445℃, 밀도는 8.90g/cm3, 결정구조는 면심입방정이다. 가공성이 좋고 열간가공도 냉간가공도 가능하다. 내식성이 크고 500℃ 이하의 대기 중에서..
Ni3(Al, Ti)금속간화합물 L12형 금속간화합물로 소지의 γ상과 동형(同形)의 결정구조. 격자상수도 γ상에 가까우므로 통상 γ상으로 부르고, Ni기 및 Fe기 석출강화형 초내열합금의 석출상의 일종. 항복강도는 온도상승에 따라 5~6배로 증가한다.
니켈-크롬합금[nickel-chromium alloy] Ni에 Cr을 첨가해 두면 ①전기저항이 급증하지만 그 온도변화는 작다, ②내산화성․내식성이 향상된다, ③순Ni에 대한 열기전력이 급증한다,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 ①니크롬선은 전열선의 대명사였다. 80% Ni-20% Cr합금은 그 대표로서 150℃까지 쓰인다. 60% Ni-15% Cr-25% Fe합금도 실용 니크롬선이지만 이것은 1075℃까지이다. ②내열합금으로는 15~20%의 Cr을 함유하고 대(對)크리프성(☞크리프)를 갖기 위한 Ti, Al 등을 첨가한다. 이와 같이 하여 개발된 내열합금이 나이모닉, 인코넬이다. 또 Ni-Cr합금에 Fe, Mo, W 등을 첨가한 내식성합금으로 하스텔로이가 있다. ③크로멜-알루멜열전쌍(JIS에서는 K형(구칭 CA형..
니켈-몰리브덴합금[nickel-molybdenumalloy] 이 합금에서는 Ni측에 꽤 넓은 고용영역으로 Mo를 30% 부근까지 고용할 수 있다. Mo를 첨가하면 일반적으로 내식성, 내열성이 향상되고 외부자기장에 의해 자화되기 쉬우며 자기장을 제거하면 바로 자기소거하는 연자성이 증대한다. 내식성합금에는 하스텔로이, 내열성합금에는 상당량의 Cr을 동시에 첨가한 인코넬, 연자성합금에는 퍼민바가 있다.
니오브[niobium] 회백색의 금속. 원소기호 Nb, 원자번호 41, 원자량 92.91. 컬럼바이크나 탄탈라이트에 항상탄탈과 함께 산출하므로,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프리지아의 왕국 탄탈스의 딸의 이름에서 명명되었다. 1801년에 C. 해쳇이 발견하고 잠시 후에 컬럼븀이라고 불렀으나 차츰 니오브라고 부르게 되었다. 니오브금속을 단리한 것은 1864년 C. W. 브럼스트런드이다. 정련은 우선 광석을 플루오르산과 황산으로 분해하고 여액을 메틸이소부틸과 묽은 황산으로 처리하고 수용액에 니오브를 이동시킨다. 이 수용액에서 침전한 수산화물을 가소하여 Nb2O5를 얻는다. 이것을 탄소환원하여 NbC를 만들고 다시 Nb2O5와 혼합하여 진공가열하여 고순도의 니오브를 얻는다. 니오브의 밀도는 8.56g/cm3(25℃)이..
니레지스트[Ni-resist] Sheepbridge Allo Cassting사(영국)의 오스테나이트계 Ni내열내식주철(☞오스테나이트주철). 여기에 Si 등을 가하여 내식성을 개량한 Ni-resist Ⅰ, Ⅱ, Ⅲ, Ⅳ, Ⅴ(S. A. Henricot사(벨기에)), 그 밖에 Symington Gould사(미국), Dominion Wheel & Foundry사(캐나다), International Nickel사(미국), Fahralloy 등의 것이 있는데, 어느 것이나 Ni- resist 1, G, type1, type2A, typeD-2, typeD-5B 등 Ni-resist 후에 숫자, 기호가 붙어있고 오스테나이트계 Ni, Ni- Cr 내열․내식․내산주철이다. Ni-resist:C 2.3%, Ni 14%,..
누각(漏刻)[water clock] 수시계를 의미. 중국 주시대에 사용하기 시작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바닥에 구멍을 뚫은 용기에 물을 넣고 새는 물을 별도의 용기에 받아 그 수위의 상승을 눈금을 매긴 표시(플로트붙이)로서 시각을 안다. 화살로 표시한 눈금을 누각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일본서기에 누각의 기재가 있다(천지천황이 황태자일 때 처음으로 누각을 설치하고 때를 알렸다). 또 최근 나라(奈良)현 미즈라쿠(水落)유적에서 누각의 유물로서 추정된다. 목통(木樋), 목관, 동관 등이 출토되었다.
녹청[green rust] 구리 또는 구리합금의 표면에 생기는 녹색의 녹. 지붕이나 동상의 표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것의 주성분은 염기성황산구리 CuSO4․3Cu(OH)2이다. 이 CuSO4․3Cu (OH)2에 산성우가 닿으면 CuSO4․2Cu (OH)2로 변화하고 물에 녹기 쉽기 때문에 지붕이나 동상의 표면에 얼룩이 진다. SO2가 존재하지 않는 청정한 공기가 있는 곳에서 발생하는 녹은 CuCO3․Cu(OH)2이다. 매장청동미술품의 표면 녹은 CuCO3 ․Cu(OH)2이였거나 CuCl2․3Cu(OH)2이였기도 하였다. 해안지대의 철도가선에는 CuCl2․3Cu(OH)2가 발생한다. 번개가 많은 산악산림지대의 철도가선에는 Cu(NO3)2 ․3H2O가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