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금질경화[quench hardening] 철강재료를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상태로 한 후 물이나 기름 등 속에서 급냉하여 단단한 마르텐사이트조직을 얻는 열처리. 철강재료에서는 단순히 담금질이라고하면 이러한 처리를 가리킨다. 담금질균열[quenching crack] 담금질할 때에 생기는 균열을 의미. 급냉에 따른 열변형에 의한 것과, 변태변형에 의한 것이 있는데, 강재에 있어 담금질균열의 대부분은 변태변형에 의한 것으로, 오스테나이트→마르텐사이트변태에 따르는 이상팽창이 원인이다. 따라서 담금질균열 방지의 대책으로는 Ms점(마르텐사이트변태온도) 이하를 서냉한다. 뜨임이나 불림을 하는 살두께의 급변을 피하는 설계를 하는 등이 필요하다.
뜨임경화[temper hardening] 합금강을 550~600℃로 뜨임했을 때 합금원소와 탄소가 결부된 화합물(합금화합물)이 생기고 경도가 상승하는 것. 2차경화라고도 한다. 잔류오스테나이트가 뜨임 온도에서의 냉각 속에 마르텐사이트로 되는 것도 경화에 기여한다. 뜨임취성[temper brittleness] 합금강을 어느 온도 범위에서 뜨임했을 때, 또는 그 온도 범위를 서냉했을 때에 생기는 취화. 475℃ 부근에서 볼 수 있는 고온뜨임취성은 P, Sn, As, Sb 등이 결정립계에 편석하고 입계파괴하기 쉬워짐으로써 생긴다. 300℃ 부근에서 볼 수 있는 저온뜨임취성은 막상(膜狀)시멘타이트의 석출, 조대탄화물의 석출, 불순물 원소의 결정립계 편석 등에 의해 생긴다.
마그네슘합금[magnesium alloy] 마그네슘은 밀도가 1.74Mg/m3으로 실용금속재료 중 가장 경량으로 철의 약 1/4, 비강도(중량비강도)도 최대로서 진동감쇠능, 내압입자국성, 절삭성, 치수안정성이 높고, 열중성자흡수단면적이 작은 등 우수한 특성이 있으며, 합금으로서 우주, 항공, 미사일, 원자로 등 고도의 이용에서 일반적으로는 자동차, 오토바이, 휴대용전자기기, 가전제품, 광학기기, 스포츠용품 등에 그 용도가 넓다. 1912년 독일이 Electron(일렉트론)으로 명명된 Mg-Zn합금계의 제조를 개시, 그 후 미국에서 Dow meral로 칭하고, Mg- Al계합금을 제조함으로써 이것이 개발의 기초가 된다. 마그네슘의 합금규격은 일반적으로 ASTM에 의한 표시법이 쓰이고 있다. 첨가원소의 기호..
경질 막의 종류와 특성 : 금속 표면 처리의 기초 지식 7 1. 경질 막의 개발 동향 경질 막에 가장 기대되는 적용 목적은 내마모성 및 내마모성의 향상입니다. 절삭 공구를 비롯한 기계 부품 및 자동차 부품에 적용되어 있습니다. 또한 내식성과 내열성, 내 반응성의 향상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조건의 가혹한 금형 및 자동차 엔진 부품에 이르기까지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PVD (물리 증착 : Physical Vapor Deposition) 및 CVD (화학 증착 : Chemical Vapor Deposition)에 의한 경질 막의 수탁 가공의 수요는 공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PVD 및 CVD가 절삭 공구 및 금형을 사용하는 가공 산업의 기술 과제와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
1. PC (폴리 카보네이트) PC (폴리 카보네이트)는 일반적으로 2가 히드 록시 화합물과 탄산의 중축 합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 에스테르입니다. 1956 년 독일 바이엘 사에서 개발되어 1958 년에 상용화가 시작되었습니다. PC는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유일한 투명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징 (내 충격성, 내열성, 치수 특성, 자기 소화성, 내후성, 사용 온도가 광범위 등)을 활용하여 전기 · 전자 · OA, 광 미디어, 자동차 · 차량, 정밀 기기, 의료 · 보안, 건축 자재, 잡화 등 매우 폭 넓은 용도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표 1 : PC (폴리 카보네이트)의 용도 예 분야 용도 예 전기 관계 가전 부품 (텔레비전 부품, 헤어 드라이어 하우징, 각종 DVD), 전자 통신 (릴레이..
1. 용융 도금 용융 도금은 용융 금속 중에 처리 물을 침지하여 표면에 용융 금속 및 합금 층을 형성시키는 표면 처리입니다. 대표적인 것이 용융 아연 Zn 도금 및 용융 알루미늄 Al 도금이 있고, JIS으로 그 종류와 기호, 시험 방법, 작업 표준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JIS H 8641에 의한 용융 아연 Zn 도금의 기호는 HDZ 용융 알루미늄 Al 도금의 기호는 HDA입니다. 또한 기호 뒤에 부착량 등을 나타내는 번호가 붙습니다. 아연 Zn 도금 강철의 방청 (녹)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다른 표면 처리에 비해 방청 (녹) 기간이 길고 경제적으로도 유리합니다. 처리 물의 형상과 크기의 제약을 거의받지 않기 때문에 소형 부품에서 대형 부품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습니다. 구조물로는..
리튬[lithium] 은백색, 체심입방구조의 알칼리금속원소. 원소기호 Li, 원자번호 3, 원자량 6.94. 녹는점 180.6℃. 고체원소 중 가장 가볍다(밀도 0.534g/cm3(20℃)). 광석으로는 둔각석(2LiF․Al2O3․P2O5), 실리아휘석(Li2O ․Al2O3․4SiO2) 등이 있고, 화학적 처리로 무수염화리튬으로 하고 전해정련하여 얻어진다. 구리합금의 탈산제, Al이나 Mg에 첨가하여 비강도 등을 향상시킨다. 화학에서는 환원제, 전지의 양극재 등에 쓰인다. 최근은 충방전 가능한 전지재료로 주목받고 있다.
림드강[rimmed steel] 전로나 전기로로 정련된 용강에 강탈산제를 가하지 않는 강을 의미. 용강 속에 용해하고 있는 C와 O가 응고시에 반응하여 CO기포가 되고, 이것이 응고강의 표면 근방에 포착된다. 이 포착된 기포가 많은 표면 부근을 림층이라고 한다(림은 영어로 차륜의 테두리를 의미). 림층의 안쪽을 코어라고 한다. 기포가 발생하고 미(未)응고용강이 교반되는 현상을 리밍액션이라고 한다. 리밍액션이 연속주조할 때 브레이크아웃의 원인이 되므로, 연속주조법이 보급되고 난 후부터는 거의 제조되고 있지 않다.
담금질[quenching] 재료를 고온으로 가열한 후 실온 또는 저온으로 유지한 물, 기름 그 밖의 냉매 속에 투입하여 급속히 급냉하는 열처리. 알루미늄합금에서는 담금질함으로써 냉각 속에 생기는 경화에 기여하지 않는 석출이 제어되고, 담금질 후의 시효처리에 의한 경화의 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철강재료에서는 담금질경화라고도 하여 고온에서 오스테나이트조직, 실온 부근에서 페라이트조직이 되는 재료를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상태로 한 후 물이나 기름(☞기름담금질) 등 속에 투입하여 급냉함으로써 단단한 마르텐사이트조직을 얻는 열처리를 말한다. 이 열처리에 의해 단단한 마르텐사이트조직이 얻어진 것을 담금질한다고 한다. 담금질 후는 연성,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 뜨임을 한다. 충분한 양의 마르텐사이트가 얻어지지 않고 ..
단조[forging] 물체에 압축력을 부가하여 성형하는 비정상적 가공. 주조와 견주어 인류가 고대부터 이루어 왔던 금속가공기술이다. 철검을 만드는데 인간이 해머로 열간단조하였다. 소동력 축차가공의 전형이다. 해머는 공구계의 운동에너지를 단조 동력으로 변하게 한다는 점에서 그 특징이 있다. 한편 프레스를 사용하는 단조로서 장치계의 운동에너지에서는 장치를 구동하는 동력의 용량이 단조의 동력이 된다. 프레스를 사용하는 단조도 수천톤에서 수만톤 용량의 대형유압프레스를 사용하여 열간에서 하는 대형단조품의 수평단조, 인장단조, 형단조, 같은 니켈합금이나 티틴합금의 형단조, 등온형단조를 비롯하여 수백톤 정도의 클램프프레스를 이용하는 차부품 등의 냉간단조까지 온도나 제품의 질량면에서는 다양하다. 단조성형의 기본적인 기..
단련[work, forging] 강을 열간단조하여 성질을 조정한 것. 단련이라는 말은 이러한 기술상의 용어로 전환하여 교육의 하나의 목적을 의미하는 용어라는 것은 잘 알려지고 있다. 교육상의 단련이란 대상으로 하는 인간에 말이 되지 않는 언어인 실천의 장(場)을 부여하여, 여기서 심신에 과제를 주는 일종의 시련을 경험시켜 끈끈하고 강한 인격을 형성시키는 것이다. '철은 뜨거운 속에서 때린다'라는 말도 단련으로부터 파생하여 기술 및 교육의 용어로 되고 있다. 즉 '단련'이란 말도 앞으로 잡아당긴다는 기술에서 파생하여 교육 특히 체육분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인격도야라는 말도 재료기술의 용어가 교육용어로 전환한 것이다. 즉 도토(陶土)를 조정하고 성형하여 가마로 구워서 사용되는 도기를 창출하는 것, 소재의..
다이스[die, (pl.)dice] 금속판을 프레스로서 펀칭, 휨, 디프드로잉 등을 실시하고 부품에 성형할 때, 또 금속소재에서 각종부품을 열간 또는 냉간단조에 의해 성형할 때, 금속선을 드로잉으로 다시 선경(線徑)을 감소시킬 때 사용하는 공구의 총칭. 프레스에 있어 판성형이나 단조에서는 형(型)이라고 한다. 다이스에 쓰이는 재질은 상술한 각종 가공기술에 있어서 역학적 상황의 차이에 따라 다양하다. 휨, 펀칭, 드로잉 등에서의 형은 재료 운동의 안내 역할이 크고, 면압이 그 정도로 커지지 않는 대신 접동속도가 커서 문제가 되는 것은 형스커핑(scuffing)이라고 하는 마찰상(摩擦傷)의 발생이다. 윤활성이나 내소부성을 주안으로 두고 암프코합금으로 칭하는 청동의 일종이나 주철이 형재료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