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찰계수 1.미끄럼마찰면의 종류μ나무와 나무0.25~0.5나무와 삼0.35~0.5나무와 주철0.2~0.6금속과 금속0.15~0.2금속과 가죽0.56나무와 가죽0.27 2.구름마찰차륜평면μ딱딱한 나무딱딱한 나무0.05~0.08주철주철0.005연철연철0.005담금질강구담금질강0.0005~0.001 3.원판클러치의 마찰계수재질상태μ가죽과 주철약간의 기름기가 있는 경우는 작은 값 기름기가 없는 경우는 큰 값0.20~0.25FCとFC또는BC0.15~0.20금속과 코르크기름기가 있는 경우0.32금속과 코르크건조한 상태0.35금속과 금속0.15금속과 석면기름기가 있는 경우0.20기름기가 없는 경우0.30
재료의 비중 재료명비중특수강, 고속도강8.7스테인리스 SUS3047.9다이스강7.8동8.9~8.93황동8.4~8.6청동8.74인청동8.60~8.95듀랄루민2.85마그네슘1.74주석7.42납11.34아연7.14납땜9.5순철7.85주철7.1~7.3강(강철)7.85규소강7.6니켈8.8알루미늄2.7실루민(규소+알루미늄합금)2.7종이1.28~1.40유리섬유1.40~1.90석면포1.55~1.80
오스트나이트계 기계적성질 도표강종기호Symbol항복강도 (N/mm²)인장강도 (N/mm²)연신율 (%)경도HBHRBHV201BNG201325 이상650 이상40 이상--240 이하STS201245 이상640 이상40 이상241 이하 100 이하253 이하Type201310 이상655 이상40 이상241 이하 100 이하253 이하202BNG202205 이상550 이상40 이상- -220 이하STS202245 이상590 이상40 이상207 이하 95 이하218 이하Type202260 이상620 이상40 이상241 이하 100 이하253 이하301STS301205 이상520 이상40 이상207 이하 95 이하218 이하301LSTS301L215 이상550 이상40 이상187 이하 90 이하200 이하304S..
침탄강(浸炭鋼) 구조용강 중에는 고주파담금질(高周波燒入), 침탄담금질(浸炭燒入) 등의 방법에 의해 표면만 경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있다. 이 중 침탄(저 탄소강의 표면에 C를 확산 등의 방법으로 침투시켜 표면만 고탄소강으로 함) 처리하여 쓰이는 침탄용강을 침탄강이라 하는데 일반적으로 탄소량이 0.25% 이하의 것이다. 침탄강으로서 사용되는 것에 C강, Cr강, Cr-Mo강, Ni-Cr강, Ni-Cr-Mo강 등이 JIS에 규정되어 있다. 이외에 Mn-Cr강 등도 쓰인다.침탄한 강은 열처리에 의해 침탄층만 경도와 내마모성(耐磨耗性)이 크고 비침탄부(非浸炭部)는 강인한 것이 필요하며, 또 각종의 형상이 복잡한 부품 등에 침탄하여 사용하므로 담금질성이 좋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적은 것이 요구된다.Cr, Mo은 침탄..
강인강 (强靭鋼)기계구조용 탄소강에서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고 열처리에 의해 그 성질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나, 그 위에 구조용강으로서 탄소강의 기본성분에 Mn, Cr, Ni, Mo등의 합금원소를 첨가하여 구조용강의 기계적 성질을 개량한 것을 일반적으로 구조용 합금강이라 하며 그중 0.25~0.50%C 정도의 중탄소 합금강이 강인강으로 불리어진다. 강인강은 전술한 바와 같이 함금원소를 가하여 질량효과 (質量效果, Mass effect)와 강인성의 개선을 꾀한 것으로 강인강으로서의 강종을 선택 하는 데에는 질량효과를 고려하여 경화능 곡선(硬化能 曲線, Hardenability band), 이상임계직경(理想臨界直径)을 검토하고 부품단면의 담금질조직, 경도를 조사하여 그 부품에 걸리는 응력의 분포에 대응한 ..
가) 저탄소강 (低炭素鋼), SM10C~SM25C)이 범위의 탄소강은 열처리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비교적 강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것에 사용되며 인성이 있으며 용접도 용이하므로 일반기계구조부품에 널리 사용된다.나) 중탄소강 (中炭素鋼), SM28C~SM48C)이 범위의 탄소강은 냉간 가공성, 용접성은 약간 나쁘게 되나 담금질, 뜨임에 의하여 강인성이 증대되므로 비교적 중요한 기계구조부품에 사용된다.그중 특히 SM40C~SM58C의 것은 고주파담금질에 의해 표면 경화시켜 피로 강도가 높고, 또 마모에 강한 기계 부품에 사용가능하므로 용도가 광범위 하며 실제로 사용량도 많다.다) 고탄소강(高炭素鋼 SM50C~SM58C)이 탄소강은 열처리 효과가 크고 담금질성이 양호하나 인성(靭性)이 부족하므로 표면의 경..
플라스틱 베어링의 내약품성구분 재질플라스틱의 耐酸 耐알카리성耐용제, 耐기름, 耐그라스, 耐해수성크롬산 25 % 실온황산질산염산초산50 % 실온수산수산화나트륨수산화칼륨수산화칼슘액체암모니아크레졸에틸알콜홈알레이드벤젠석유암모니아탄산가스아황산가스해수10 % 실온98 % 실온증기실온10 % 실온61 % 실온증기실온10 % 실온38 % 실온10 % 실 온30 % 실온30 % 30 ℃아세탈×△××△×× ◎△ ○◎ ○◎ △○ ◎ ◎P. P.△◎△△◎△×◎◎○◎◎◎◎◎◎○○○◎△○ ◎◎◎스텐레스 베어링의 내부식성구분 재질황산질산염산초산수산10 % 20 ℃수산화나트륨수산화칼륨암모니아에틸알콜벤젠20 ℃암모니아수아황산가스20 ℃해수5 % 20 ℃ 5 % 비등점10 % 20 ℃5 % 20 ℃10 % 20 ℃10% 비등점50 % ..
성수 지 명 기 호U-HMW.PEH-PEPPMCPOMPVCPUR일반명초고분자량 포리에치렌 포리에치렌 (경질)포리프로피렌모노마캬스팅 나이론포리 아세탈염화비닐포리우레탄원 료 상품명 하에젝스 밀리언 호스타렌 GUR하이젝스 쇼우젝스 유가론 etc주우노-부렌 삼정포리푸로 칙소포리푸로 etc나이론 모노마론 UBE-UMC쥬라곤 데르린가네에스 스미곤VM 염화비닐 etc다수아지푸렌 부루코란 에리스도란 파라부렌기 계 적 성 질비 중0.940.93~0.960.91.15~1.171.41~1.421.16~1.351.05~1.25경 도쇼아 D67~69쇼아 D60~70록웰 R85~10록웰 R95~120록웰 R118록웰 R108~118A70~100인장강도kg f/㎠450200~390300~480770~980615~700420~530..
특 성단 위ASTM 시험법 Test MethodPTFE Ploytetra- fluoro- ethylene PFA Perfluoro alkyl PCTFE polychloro- trifluoro- ethylene copolymers PVDF Polyvinyl- idene fluoride 물 리 적 . 열 적 성 질 비 중 D7922.14-2.202.12-2.172.1~2.21.75~1.78융 점˚C-327310220166선팽창계수10-5 /˚CD6969.9 (23~66˚C) 12 (21~100˚C)4.5~7.08.5열 전 도 율10-⁴㎈/㎝.s.˚CC1776.06.04.7~5.34.5~5.8굴 절 율 D5421.351.35-1.42흡 수 율%(24h)D5701018>10182.0×10142.0×1014표면 ..
열처리의 개요 및 열처리 목적과 열처리 종류 요약1. 열처리 개요열처리란 재료에 가열과 냉각의 조작을 통하여 우리가 원하는 성질로 변화시키는것 즉 금속의 잔류응력을 감소하거나 내부 조직을 변화 시켜서 필요한 기계적인성질을 얻는 것을 말하며 동일재료도 열처리에 따라 그 적응성은 광범위하게 변할 수 있다. 열처리를 통하여 모든 상업기계, 구조물, 모든 소성가공, 성형가동,형상물 등에 적용하여 그 성질에 적합하도록 변화시킬 수 있게 된다.2. 열처리 목적1) 경도나 항장력을 확대2) 조직 연화 및 기계가동에 적합한 재료 제작3) 조직 미세화로 방향성을 작게 하고 편석이 작고 균일한 상태로 변환4) 중간 풀림 열처리를 통하여 냉간가공 영향 제거5) 변형방지 및 응력제거6) 조직의 안정화7) 내식성 개선8) 자성..
열처리의 종류 및 설명 열처리 분류 열처리 종류 설 명 계단 열처리 담금질 (Quenching) 강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 조직에 이르게 한 뒤,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급냉시키는 열처리 방법이다. 담금질은 강의 경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강의 담금질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강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가 성장하여 담금질후에도 기계적 성질이 나빠지고 균열이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담금질 온도에 주의해야 한다. 뜨임 (Tempering) 담금질한 강은 경도가 증가된 반면 취성을 가지게 되고, 표면에 잔류 응력이 남아 있으면 불안정하여 파괴되기 쉽다. 따라서 적당한 인성을 재료에 부여하기 위해 담금질 후에 반드시 뜨임 처리를 해야한다. 즉 담금질 한 조직을 안정한 ..
주석도금강판 [tin plate] 주석도금강판은함석판이라고도 하고 캔이나 용기재료에 쓰인다. 주요 용도는 통조림의 캔, 일반캔(과자, 오일, 세제 등의 캔), 왕관, 캡 등이 있는데, 주석은 자원이 적고 고가이므로 20여년 주석을 사용하지 않는 캔(틴프리스틸)의 사용이 증가하는데, 그 주요한 것은 전해크로메이트처리 강판이다. 이전에는 용융도금법에 의한 것이 주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전기도금법에 의한다. 도금의 부착량은 전기도금의 경우 한쪽 면에 대해 2.8~11.2g/m2으로, 양면에서 같은 부착량의 제품과 다른 것이 있다. 주석도금층은 통상 소지의 강에 가까운 쪽부터 철-주석합금층, 주석층, 산화물층, 도유층(塗油層)으로 구성되고 있다. 광택마감의 제품은 도금 후에 주석층의 용융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