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와 거북선 나는 나무에게서 인생을 배운다!

반응형
반응형

"남산 위의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 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

 

얼마 전 집 앞에 메가박스 영화관이 새롭게 오픈하여 걸어다고 되는 가까운 거리인지라 어제 두 딸과 함께 지난번 가족영화 '탑건, 메버릭' 이후 요즘 뜨는 영화 한신: 용의 출현을 보았는데 영화 속에서 왜군들로부터 복카이센 沐海船(=목해선)이라 불렸던 '거북선'과 전에 수원 쪽에서 올라가보았던 '용인 광교산'이 대사 속에 자주 등장하더라구요.

충무공 종가에 전해 내려오는 실존했다는 당시의 거북선은 우리가 상상하는 그 화려하고 늠름한 명성과 달리 겨우 3척에 불과하였다고 전해진다.

 

우리 역사 속의 거북선
우리 역사 속에 거북선이 등장하게 된 것은 조선 초기이다. 1413년(태종 13)에 “국왕이 임진도(臨津渡)를 지나다가 거북선(龜船])과 왜선(倭船)이 서로 싸우는 상황을 구경하였다.”(『태종실록 』권25, 태종 13년 2월 계사)는 기록이 있다.
또 1415년(태종 15년)에는 좌대언(左代言) 탁신(卓愼)이 올린 상소 중 병비(兵備)에 대한 내용에 “거북선은 많은 적과 충돌하여도 적이 능히 해하지 못하니 가히 결승(決勝)의 좋은 계책이라고 하겠습니다. 다시 견고하고 교묘하게 만들게 하여 전승(戰勝)의 도구를 갖추게 하소서.”(『태종실록』권30, 태종 15년 7월 을미)라고 한 것으로 보아 이미 조선 초기에 거북선에 대한 구상이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어떤 형태와 규모였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적혀 있지 않아서 알 길이 없다.
그 후 180여 년간 거북선에 관한 기록이 보이지 않다가 이순신이 쓴 임진왜란 당시의 일기인 『난중일기』2월 8일 기사에 “거북선에 사용할 돛베 29필을 받다”라는 기록이 있고, 이후 3월 27일에는 거북선에서 대포 쏘는 것을 시험하였으며, 4월 12일에는 식후에 배를 타고 거북선의 지ㆍ현자포를 쏘아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또 이순신이 해전에서 승리한 후 올린 장계 등에도 거북선에 대한 언급이 있다.

신이 일찍이 왜적의 난리가 있을 것을 걱정하고, 특별히 거북선을 만들었는데 앞에는 용의 머리를 붙여 아가리로 대포를 쏘고 등에는 쇠못을 꽂았으며, 안에서는 밖을 내다 볼 수 있어도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없고 비록 적선 수백 척 속에서도 뚫고 들어가 대포를 쏘게 되었는데 이번 길에 돌격장이 그것을 타고 나왔습니다. ······· 먼저 거북배로 하여금 적의 층루선 아래로 곧 바로 다다르게 하여 용의 아가리에서 현자대포알과 황자대포알을 치켜 놓았습니다. 또 천자대포와 지자대포에서 대장군전을 놓아 적선을 깨어 부수었습니다. (1592년 6월 14일 당포해전 장계)

이번 전투에 돌격장이 거북선을 타고 나왔습니다. 먼저 거북배로 하여금 적 선단으로 돌진하게 하여 먼저 천자대포 그리고 지자대포, 현자대포, 황자대포 등 여러 가지 대포를 놓았습니다. (1592년 6월 14일 사천해전 장계)

거북배로 하여금 먼저 돌입하게 하여 천자대포, 지자대포, 현자대포를 놓아 큰 적선을 꿰어 뚫고 돌격장이 탄 거북배가 또 적의 층각선 아래로 다다라 대포를 치켜 놓아 그 배의 대장이 앉아 있는 층각을 깨어 부수었습니다. (1592년 6월 14일 당항포해전 장계)

 

참고 : 군선의 세계(경남도청)



우리 거북선은 귀선(龜船) 두께가 12cm 이상인 소나무로 만들어졌고 일본 수군의 안택선은 삼나무로 만들어졌다고 하며 임진왜란 당시 돌격전선으로 용어머리가 거북머리로 발전하여 거북선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임진왜란 당시 적장 와키자카가 이끄는 수군 1,600여명의 일본군이 5만여명의 조선군에게 치욕을 안겨주었던 용인 광교산(지금의 광교 신도시 부근) 전투(光敎山)는 새로 알게된 역사였습니다.

'한산'을 보면서 용의 머리가 전후진을 하는 업그레이드된 거북선이 임진왜란 당시 전세가 불리했던 상황에서 겨우 3척의 거북선으로 왜군을 맞아 싸워 승리할 수 있었던 요인 중 무엇보다 거북선의 주재료인 소나무의 위력 때문이었다고도 말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두타산 베틀바위 부근의 소나무
북한산 백운대 하산길의 소나무
북한산 백운대 정상으로 향하는 길에 서 있는 소나무
우리 민족을 지켜주며 역사 속에서 한민족과 함께 고난을 이겨내며 함께 숨쉬고 살아온 소나무는 오늘날 우리나라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나무로 자리잡았지요.
저는 '산'이라는 새로운 학교에 입학해 '나무'라는 친구들과 스승들에게 새롭게 인생공부를 하며 삶의 지혜를 찾고 있는데요.
그 중에서 '소나무'라고 하는 친구는 세찬 바람과 추위 그리고 땡볕외에 아무것도 없는 산꼭대기 바위틈에서도 꿋꿋하게 살아가는 강인한 생명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너무 궁금해서 찾아보니 소나무는 바위틈에 뿌리내리고 강산(强酸)을 분비해 바위를 녹여 얻는 양분으로 살아간다고 하더라구요.
이산 저산을 타며 만나는 멋진 소나무들과 친해지며 자세히 살펴보니 식물로서는 최악의 몸(단점)을 가지고 있는 친구더라구요.
우선 대부분 나무 친구들은 햇볕을 받고자 잎이 넓고 앞면과 뒷면이 있는데 반해 소나무의 잎은 마치 바늘처럼 가늘고 뾰족하여 활엽수에 비해 표면적이 매우 작다는 것이지요. 하지만 지혜롭게 소나무는 줄기에 잎을 가득 달아 넓은 잎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네요.

두타산성에 있는 소나무

그리고 소나무는 '고정생장'을 하는데 1년에 딱 한마디씩만 성장하며 솔리드 방식으로 속을 꽉 채우며 자라기 때문에 천년의 풍상도 견뎌낼 수 있는 거랍니다.
소나무라고 산꼭대기 척박한 바위 땅에 자리잡고 살고 싶겠습니까? 소나무가 바위땅을 택한 것은 무리지어 경쟁적으로 살아가는 우리 인간들처럼 살지 않고 조금 느리게 살더라도 과도한 경쟁 대신 어떤 나무도 좋아하지 않는 바위당을 택하고 사는 느림의 미학을 선택한 것입니다.
과도한 경쟁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길을 걸으며 생존하기 위해 스스로 환경에 적응해가고, 단점을 극복하며 독야청정 하는 낙락장송 소나무의 지혜는 고난과 쓸데없는 경쟁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배워야 할 교훈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나는 나무에서 인생을 배운다"

금천구 호암산 정상으로 가는 암릉로의 소나무

산을 다니며 나무에게서 인생과 삶의 지혜를 배우는 소나무와 바위를 좋아하는 한 인간

경주 남산의 소나무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