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제기준 (필기) ○ 직무분야 : 기 계 ○ 자격종목 : 전산응용기계제도 기능사 ○ 적용기간 : 2006. 1. 1 ~ 2010. 12. 31 ○ 직무내용 :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산업체에서 제품개발, 설계, 생산기술 부문의 기술자들이 기술정보를 표현하고 저장하기 위한 도면, 그래픽 모델 및 파일 등을 산업표준 규격에 준하여 제도하는 업무등의 직무 수행 ○ 필기시험방법(문제수) : 객관식(60문제) ○ 시험시간 : 1 시간 필기과목명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세세항목 기계재료 및 요소, 기계가공법 및 안전관리, 기계제도 (CAD) 60 1. 기계재료 및 요소 1. 기계재료 2. 기계요소 1. 기계재료의 성질과 분류 2. 철강재료 (순철, 탄소강, 합금강, 주철, 주강) 3. 비철 금속 재료 1) 알루미..
지그용 고정 부시(press fit bush) 드릴부시의 치수결정 순서 ① 드릴 직경 선정 ② 부시의 내경과 외경 선정 ③ 부시의 길이와 부시 고정판(jig plate) 두께 결정 ④ 부시의 위치결정(locating) 고정 부시는 머리가 없는 고정 부시와 머리가 있는 고정 부시의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부시를 자주 교환할 필요가 없는 소량 생산용 지그에 사용한다. [머리없는 고정 부시] [머리있는 고정부시] [주] 1. 형상공차는 IT5급을 적용하였다. [TIP] 1. 드릴(drill)이나 리머(reamer) 가공시 공구(tool)의 안내(guide) 역할을 치공구 요소이다. 2. 재질은 STC3(탄소공구강), SKS3(합금공구강) 등을 사용한다. 3. 전체 열처리를 한다. (예: HRC 60± 2)내경..
T홈의 KS규격 치수 기입예입니다. [Tip] ● T홈의 호칭치수는 A로 위쪽 부분의 홈이다. ● 치수기입이 복잡한 경우는 상세도로 도시한다. ● T홈의 호칭치수 A의 허용차는 0급에서 4급까지 5등급이 있다.
롤러 체인 스프로킷 KS규격
롤러 체인 스프로킷 제도와 주요 치수 기입법과 요목표 작성법에 관한 사항입니다.
키 및 키홈의 끼워맞춤 KS B 1311:2009 키 및 키홈 관계의 표준에는 1965년에 KS B 1311(묻힘키 및 키홈), KS B 1312(반달키 및 키홈) 및 KS B 1313(미끄럼키 및 키홈)이 제정되었다. 1984년에 KS B1313은 ISO 표준을 가능한 한 도입하여 대폭적인 개정이 이루어졌다. 신표준과 구표준의 끼워맞춤 방식을 대조하여 아래 표에 나타내었다. 신표준 구표준 키의 종류 키의 너비 b 키의 높이 h 키홈의 너비 키의 종류 키의 너비 b 키의 높이 h 키홈의 너비 b₁ b₂ b₁ b₂ 평행키 활동형 h9 정사각형 단면 h9 직사각형단면 h11 H9 D10 미끄럼키 h8 h10 N9 E9 보통형 N9 Js9 평행키 2종 H9 조임형 P9 평행키 1종 p7 h9 H8 F7 경사키..
평행키 (parallel key) 평행키는 개정 전 규격에서 묻힘키(성크키, sunk key)라고 호칭하였으며, 축(shaft)과 보스(boss)의 키 홈은 각각 축방향으로 평행한 형태의 홈 가공을 한다. 평행키는 보통형(보통급), 조임형(정밀급), 활동형(미끄럼키)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키 홈으로 인해 축의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설계자는 다양한 부품에 적용된 키를 자주 접하게 될 것이다. 키의 호칭치수(폭×높이, b×h)는 표준 규격으로 정해져 있고, 호칭치수에 따라서 길이(l)의 사용범위가 주어지며 적용하고자 하는 축 지름도 참고로 주어지므로 올바른 키 홈 치수와 조립되는 보스에 알맞은 키 홈 치수를 찾아 도면에 명시해주어야 한다. 키 홈의 가공 방법으로는, 축의 경우 밀링커터나 앤드밀로 절..
플러머 블록 제도 및 치수기입
오일실 치수기입법
평행키 기계제도
1. 치수공차 용어 그림 L1-1은 치수공차(tolerance)에 사용되는 용어를 나타낸 것이다. 기준 치수(basic size): 치수공차를 정할 때 기준이 되는 치수로 지금까지 우리가 도면에 기입해온 치수이다. Ø64±0.03에서 Ø64가 기준치수가 된다. 실 치수(actual size): 가공이 완료된 후 실제로 측정했을 때의 치수이다. 실제로 부품을 가공할 때에는 기계의 가공정밀도, 재료의 불량, 작업자의 숙련도, 온도나 습도의 영향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기준 치수보다 조금 크거나 작게 가공된다. 반면에 축과 구멍처럼 끼워 맞추는 부품은 그 상태에 따라 일부러 조금 크게 또는 조금 작게 가공하기도 한다. 허용 한계 치수(limit of size): 허용할 수 있는 실 치수의 범위를 말한다.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