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처리의 목적, 열처리의 종류와 개요
- 기술지식/열처리도금
- 2022. 3. 2. 22:42
열처리의 주요 목적
제도자는 설계자가 설계한 조립도를 보고 투상을 하여 치수기입과 공차의 선정 및 표면거칠기 기호를 지정한 다음에는 각 부품별로 재질을 선정해주고 그 부품 기능에 따른 기계적 성질을 맞추어주기 위하여 열처리를 선정하게 된다. 열처리는 기계 부품 제조 공정 중 필수적인 공정으로, 기계를 구성하는 부품의 기능에 요구되는 여러가지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켜 기계의 기능 향상 및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특히 공구강, 고속도강, 금형용강 등의 합금강은 원료 자체가 비싸고 제품 설계와 가공에 있어서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아 부품 제조에 소요되는 생산 원가가 비싼데, 이런 부품의 열처리는 그 결과가 매우 중요하며 열처리 불량으로 인한 손실 또한 커질 수도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1. 열처리의 주요 목적
① 경도 또는 인장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담금질, 담금질 후 보통 취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뜨임처리)
② 조직을 연한 성질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기계 가공에 적합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목적(어넬링, 탄화물의 구상화 처리)
③ 조직을 미세화하고 방향성을 적게 하며, 균일한 상태로 만들기 위한 목적(노멀라이징)
④ 냉간 가공의 영향을 제거할 목적(중간 어넬링, 변태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연화 처리)
⑤ 내부 응력을 제거하고 사전에 기계 가공에 의한 제품의 비틀림의 발생 또는 사용중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목적 (응력제거 어넬링)
⑥ 산세 또는 전기 도금에 의해 외부에서 강중으로 확산하여 용해된 수소를 제거하여 수소에 의한 취화를 적게 하기 위한 목적 (150∼300℃로 가열)
⑦ 조직을 안정화시킬 목적(어넬링, 템퍼링, 심냉 처리 후 템퍼링)
⑧ 내식성을 개선할 목적(스테인리스 강의 퀜칭)
⑨ 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규소강판의 어넬링)
⑩ 표면을 경화시키기 위한 목적(고주파 경화, 화염 경화)
⑪ 강에 점성과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목적(고망간(Mn)강의 퀜칭)
이상과 같은 열처리는 강의 화학 조성과 용도에 따라 열처리 방법이 결정된다.
2. 열처리의 종류와 개요
설계자가 도면 작성시에 열처리가 필요한 부품에 별도의 지시를 해주지 않는다면 현장에서는 그대로 제작을 할 것이고 나아가 열처리가 되지 않은 부품을 그대로 사용하게 되면 쉽게 마모되어 부품을 다른 재질로 교체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래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열처리의 종류와 개요에 대해 이해를 하고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① 담금질 (퀜칭,quenching)
강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 조직에 이르게 한 뒤,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급냉시키는 열처리 방법이다. 즉, 강을 단단하게 하기 위하여 강 고유의 온도까지 가열해서 적당한 시간을 유지한 후에 급냉시켜 얻는 조직으로 A3, A1 상 30~50°C에서 유지 후 물 또는 기름에 급냉시켜 얻는다. 담금질은 강의 경도와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강의 담금질 온도가 너무 높으면 강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가 성장하여 담금질 후에도 기계적 성질이 나빠지고 균열이나 변형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 담금질 온도에 주의해야 한다. 인장, 굽힘, 전단, 내마모성 등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경화를 목적으로 한다. 부분 담금질은 강이나 주철로 만든 부품의 필요한 부분만을 열처리하여 기계적, 물리적 성질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열처리를 말한다. 탄소함유량이 0.025%C 이하에서는 담금질이 되지 않는다. 담금질을 시키려면 침탄 후 실시해야 하고, 0.25%C 이상에서만 담금질이 가능하며 0.8%C 일 때 가장 담금질이 잘된다고 한다.
■ 담금질처리하는 부품
(가) 회전, 왕복, 운동부, 습동부 등의 긁힘이나 흠집 등의 방지와 내마모성을 향상
(나) 내마모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
② 풀림 (어넬링,annealing)
일반적으로 풀림이라 하면 완전 풀림(full annealing)을 말한다. A3, A1 상 30~50°C에서 적당한 시간을 유지시킨 후 로냉(로중에서 냉각)하는 방법으로 주조나 고온에서 오랜 시간 단련된 금속재료는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자가 커지고 기계적 성질이 나빠진다. 재료를 일정 온도까지 일정 시간 가열을 유지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면, 변태로 인해 최초의 결정 입자가 붕괴되고 새롭게 미세한 결정입자가 조성되어 내부 응력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재료가 연화된다. 풀림에는 완전풀림, 항온풀림, 구상화풀림, 확산풀림, 응력제거풀림, 연화풀림 등이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열처리 방법을 풀림이라 부른다.
■ 풀림의 목적
(가) 단조나 주조 등의 기계 가공에서 발생한 내부 응력의 제거
(나) 열처리에서 발생하는 경화된 재료의 연화
(다) 가공이나 공작으로 경화된 재료의 연화
(라) 금속 결정 입자의 미세화
(마) 절삭성 향상 및 냉간가공성 개선
■ 풀림처리하는 부품
(가) 소재의 경화, 내부응력의 제거, 비틀림(변형) 방지가 필요한 부품
(나) 철판 구조물, 주물 부품 등 경도를 필요로 하는 부품
③ 불림 (노멀라이징, normalizing)
불림의 목적은 결정 조직을 미세화하고 냉간 가공이나 단조 등으로 인한 내부 응력을 제거하며 재료의 결정 조직이나 기계적 성질과 물리적 성질 등을 표준화시키는 데 있다. 강을 불림 처리하면 취성이 저하되고, 주강의 경우 주조 상태에 비해 연성이나 인성 등 기계적 성질이 현저히 개선된다. 재료를 변태점 이상의 적당한 온도로 가열한 다음 일정 시간 유지시킨 후 바람이 없는 조용한 공기 중에서 냉각시킨다. 이렇게 하여 미세하고 균일하게 표준화된 금속 조직을 얻을 수 있다. 불림처리는 A3, A1, Acm 상 30~50°C에서 적당한 시간을 유지한 후 공냉시키는 방법으로 이렇게 해서 얻은 조직을 표준 조직(standard structure)이라 한다.
■ 불림의 목적
(가) 조직의 균일화 및 미세화
(나) 피삭성의 개선
(다) 잔류응력의 제거
④ 뜨임 (템퍼링, tempering)
담금질한 강은 경도가 증가된 반면 취성을 가지게 되고, 표면에 잔류응력이 남아 있으면 불안정하여 파괴되기 쉽다. 따라서 재료에 적당한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담금질 후에 반드시 뜨임처리를 해야 한다. 즉 담금질 한 조직을 안정한 조직으로 변화시키고 잔류 응력을 감소시켜, 필요로 하는 성질과 상태를 얻기 위한 것이 뜨임의 목적이다. 담금질한 강을 적당한 온도까지 가열하여 다시 냉각시킨다. 담금질만 실시한 강은 아주 단단하고 취약하므로 기계 재료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경도는 다소 낮추더라도 인성(Toughness)을 주기 위해서 A1(723°C)점 이하에서 실시하는 열처리이다.
[key point]
담금질은 강(순철과 탄소의 합금)을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킨 후 빠르게 냉각(급냉)시키는 열처리를 의미하며, 가열 시킨 후 빠른 냉각은 강을 단단하게 만든다. 즉, 경도가 높아지는 것을 말하며, 경도가 너무 높은 것은 깨지기 쉽게 된다. 그래서 뜨임을 하는 것인데 경도가 높아진 강을 적당한 온도로 알맞게 가열하면 강의 높은 경도는 그대로 유지하는 반면에 강도는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이처럼 높은 경도와 강도를 얻어 강인한 재질을 만드는 열처리를 마치 밥을 한 후에 뜸을 들이는 것과 비슷하다고해서 ‘뜨임’이라고 한다. 뜨임은 강인한 쇠를 만들기 위해 담금질 후 공정으로 꼭 필요한 공정이며, 이러한 담금질 및 뜨임 공정을 영어의 머릿글자를 따서‘QT'(Quenching & Tempering)이라고 하고 한자로는 조질(調質)처리라고 한다.
⑤ 침탄경화법(Carburizing)
침탄이란 재료의 표면만을 단단한 재질로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단계를 사용하는 방법이다. 탄소함유량이 0.2% 미만인 저탄소강이나 저탄소 합금강을 침탄제 속에 파묻고 오스테나이트 범위로 가열한 다음, 그 표면에 탄소를 침입하고 확산시켜서 표면층만을 고탄소 조직으로 만든다. 침탄 후 담금질하면 표면의 침탄층은 마텐자이트 조직으로 경화시켜도 중심부는 저탄소강 성질을 그대로 가지고 있어 이중 조직이 된다. 표면이 단단하기 때문에 내마멸성을 가지게 되며, 재료의 중심부는 저탄소강이기 때문에 인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성질 때문에 고부하가 걸리는 기어에는 대개 침탄 열처리를 사용한다. 침탄법은 침탄에 사용되는 침탄제에 따라 고체침탄법, 액체침탄법, 가스침탄법으로 나눈다. 특별히 액체 침탄의 경우, 질화도 동시에 어느 정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침탄 질화법이라 부른다. 표면측만을 경화, 특히 내마모성 혹은 내피로성을 얻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 표면경화 처리를 하는 부품
(가) 표면경화를 필요로 하는 부품에 경화 방지 부분 (나사, 핀 홀)이 있는 부품
(나) 충격 하중을 반복적으로 받는 부품
(다) 열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부품
(라) 절단 부위에 크랙(Crack) 현상이 발생할 소지가 있는 부품
⑥ 고주파 표면경화법(Induction hardening)
0.4 ~ 0.5%의 탄소를 함유한 고탄소강을 고주파를 사용하여 일정 온도로 가열한 후 담금질하여 뜨임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하면 0.4% 전후의 구조용 탄소강으로도 합금강이 갖는 목적에 적용할 수 있는 재료를 얻을 수 있다. 표면경화 깊이는 가열되어 오스테나이트 조직으로 변화되는 깊이로 결정되므로 가열 온도와 시간 등에 따라 다르다. 보통 열처리에 사용되는 가열 방법은 열에너지가 전도와 복사 형식으로 가열하는 물체에 도달하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고주파 가열법에서는 전자 에너지 형식으로 가공물에 전달되고, 전자 에너지가 가공물의 표면에 도달하면 유도 2차 전류가 발생한다. 이 때 가공물 표면에 와전류(eddy current)가 발생하여 표피효과(skin effect)가 된다. 2차 유도전류는 표면에 집중하여 흐르므로 표면경화에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나타난다.
■ 고주파 표면 경화법의 특징
(가) 표면에 에너지가 집중하기 때문에 가열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비가 싸다.
(나) 가공물의 응력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다) 가열시간이 극히 짧으므로 탈탄되는 일이 없고 표면경화의 산화가 극히 적다.
(라) 열처리 불량(담금질 균열 및 변형)이 거의 없다.
(마) 강의 표면은 경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바) 기계적 성질이 향상되고 동적강도가 높다.
(사) 재질은 보통 0.30~0.6% 탄소강이면 충분하기 때문에 고탄소강이나 특수강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⑦ 화염경화법 (Flame Hardening)
화염경화법은 산소-아세틸렌가스, 프로판가스 또는 천연가스 등을 열원으로 한 가스불꽃으로 강의 표면을 급속히 가열하여 담금질 온도가 되면 냉각액을 표면에 분사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써 이 방법은 강전체를 경화시키는 것보다 효과적이며 담금질에 의한 균열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인장도, 충격치, 내마모성 등을 향상시킨다.
■ 화염경화법의 장점
(가) 주철, 주강, 특수강, 탄소강 등 거의 모든 강에 담금질 할 수 있다
(나) 노안에 장입할 수 없는 대형부품의 부분 담금질도 가능하다.
(다) 전용 담금질 장치를 제외하고 가열장치의 이동이 가능하다.
(라) 장치가 간단한 편이고 다른 담금질 방법에 비해서 설비비가 저렴하다.
(마) 부분 담금질이나 담금질 깊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바) 담금질 균열이나 변형이 적다.
(사) 기계가공을 생략할 수 있다.
(아) 강재의 표면은 경화되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자) 강재의 부품은 동적강도가 크고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차) 간단한 소형부품은 용접용 토오치로도 담금질이 가능하다.
■ 화염경화법의 단점
(가) 가열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으므로 담금질 조작에는 숙련된 기술이 필요하다.
(나) 화구(노즐:nozzle)의 설계와 제작이 정밀해야 한다.
(다) 불꽃을 일정하게 조절하기가 어렵다.
(라) 급속한 가열이므로 복잡한 형상의 것이나 모서리가 있는 부분은 열에 의한 치수의 변형이 생기기 쉽다.
(마) 가스의 취급 및 조작시에 위험이 따르며 전문성이 요구된다.
[5] 강의 종류에 따른 열처리 온도 및 경도
강의 종류 | KS 기호 |
JIS 기호 |
탄소 함유량 (%) | 퀜칭온도(°C) 냉각 |
퀜칭경도 H R C |
경도 H R 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SM35C | S35C | 0.32~0.38 | 860~870 | 45~55 | 40~50 |
SM40C | S40C | 0.37~0.43 | 48~56 | 42~52 | ||
SM45C | S45C | 0.42 ~ 0.48 | 수냉 | 52~59 | 45~55 | |
SM50C | S50C | 0.47 ~ 0.53 | 수냉, 유냉 | 55~62 | 48~55 | |
고탄소 크롬베어링강 | STB1 | - | 0.95 ~ 1.10 | 860~870 | 60~64 | |
STB2 | SUJ2 | |||||
STB3 | SUJ3 | 수냉, 유냉 | ||||
크롬 몰리브덴 강 |
SCM415 | SCM415 | 0.13~0.18 | 수냉, 유냉 | 58~64 | 58~64 |
SCM430 | SCM430 | 0.28~0.33 | 45~52 | 40~50 | ||
SCM435 | SCM435 | 0.33~0.38 | 50~55 | 45~53 | ||
SCM440 | SCM440 | 0.38~0.43 | 52~59 | 5~56 | ||
니켈 크롬 몰리브덴 강 |
SNCM220 | SNCM220 | 0.17~0.23 | 유냉 | 58~64 | 58~64 |
SNCM447 | SNCM447 | 0.44~0.50 | 45~52 | 45~52 | ||
SNCM439 | SNCM439 | 0.36~0.43 | 52~59 | 52~54 | ||
SNCM431 | SNCM431 | 0.27~0.35 | 820~870 | 45~52 | 45~52 | |
니켈 크롬강 |
SNC236 | SNC236 | 0.32~0.40 | 860~870 | 45~50 | 40~48 |
SNC631 | SNC631 | 0.27~0.35 | 50~56 | 45~52 | ||
SNC836 | SNC836 | 0.32~0.40 | 52~60 | 58~64 | ||
SNC415 | SNC415 | 0.12~0.18 | 수냉 | 58~64 | 58~64 | |
크롬강 | SCr430 | SCr430 | 0.28~0.33 | 830~880 | 45~56 | 40~48 |
SCr435 | SCr435 | 0.33~0.38 | 50~56 | 45~52 | ||
SCr440 | SCr440 | 0.38~0.43 | 52~60 | |||
SCr445 | SCr445 | 0.43~0.48 | 수냉, 유냉 | 52~62 | ||
탄소강 단강품 |
SF440A | SF440A | 860~880 | 32~45 | 27~37 | |
SF490A | SF490A | 45~52 | 37~38 | |||
SF540A | SF540A | 48~55 | 45~52 | |||
SF590B | SF590B | 수냉 | 52~59 | 45~55 | ||
탄소강 주강품 |
SC360 | SC360 | 0.20 이하 | 850~880 | 27~40 | |
SC410 | SC410 | 0.30 이하 | 32~45 | |||
SC450 | SC450 | 0.35 이하 | 37~48 | |||
SC480 | SC480 | 0.40 이하 | 수냉, 유냉 | 40~52 | 40~52 | |
탄소 공구강 |
STC140 | SK140 | 1.30~1.50 | 유냉, 공냉 | 62~65 | 62~65 |
STC120 | SK120 | 1.10~1.30 | 62~65 | 62~65 | ||
STC105 | SK105 | 1.00~1.10 | 62~65 | 62~65 | ||
STC95 | SK95 | 0.90~1.00 | 60~65 | 60~65 | ||
STC85 | SK85 | 0.80~0.90 | 수냉, 유냉 | 59~65 | 59~65 | |
합금 공구강 |
STS2 | SKS2 | 1.00~1.10 | 860~870 | 60~65 | 60~65 |
STS3 | SKS3 | 0.90~1.00 | 59~65 | 59~65 | ||
다이스강 | STD1 | SKD1 | 1.90~2.20 | 유냉 | 60~65 | 60~65 |
STD2 | SKD2 | 2.00~2.30 | 1000~1040 | 60~65 | 60~65 | |
STD11 | SKD11 | 1.40~1.60 | 유냉, 공냉 | 60~65 | 60~65 | |
기계구조용 탄소강관 |
STKM16A | STKM16A | 0.35~0.45 | 860~870 | 52~59 | |
STKM17A | STKM17A | 0.45~0.55 | 수냉, 유냉 | 55~62 | ||
스테인레스강 | STS440C | 0.95~1.20 | 1010~1040 | 58~63 | ||
GA | 유냉, 공냉 | 56~59 | ||||
GC | 870~880 | 53~56 | ||||
GE | 수냉, 공냉 | 53~56 |
[6] 표면경화강과 열처리 경도
구 분 | 재료 기호 | 탄 소 (%) | 경화깊이 | H R C | 용 도 및 특 징 |
침 탄 표 면 경 화 |
SM9CK | 0.07~0.12 | 0.5 ~ 2.0 | 58 | 탄소 함유량 0.25% 이하 분쇄 롤러, 클러치 이면, 스프라켓 휠 캠, 축, 피스톤, 핀, 기어 SNCM 강력 기어 축류 압연 |
SM15CK | 0.13~0.18 | ||||
SC21 | 0.03 ~ 0.18 | 56 | |||
SNC22 | 0.12 ~ 0.18 | 60 | |||
SNCM26 | 0.13 ~ 0.20 | 60 | |||
SCM21 | 0.15 | 50 | |||
질 화 표 면 경 화 |
SNC3 | 0.36 | 0.095 ~ 0.4 | 64 | Al, Cr : 질화 쉽게 하고 경도 높임 Mo : 경화 깊이 깊게, 뜨임 취성 방지 열기관 실린더, 피스톤, 열간 압연 로울러, 핀 치차, 연료 분사 노즐, 다이스, 절삭공구 |
SACM2 | 0.4 ~ 0.5 | 72 | |||
SNCM9 | 0.44 ~ 0.5 | 64 | |||
고주파 표 면 경 화 |
SM35C | 0.32~0.38 | 고주파 0.05 ~ 1.5 |
40 | 소형 정, 축, 핀 스크류 기어, 캠 |
SM40C | 0.37~0.43 | 64 | |||
SM45C | 0.42~0.48 | 50 | |||
SM50C | 0.47~0.53 | 58 | |||
SM55C | 0.52~0.58 | 62 | |||
화 염 경 화 |
SNC1,2,3 | 0.35 | 화염 0.8 ~ 6 |
62 | 대형 크랭크 축, 배드 미끄럼 면, 기어, 캠 |
SNCM6,7,8,9 | 0.45 | 64 | |||
SCM4 | 0.4 | 60 | |||
STC85 STC75 STC65 |
0.60~0.90 | 56 | |||
SPS10 | 0.5 | 58 | |||
STS41 | 0.35~0.45 | 45 | |||
쇼 트 피이닝 |
SPS1 ~ 11 | 0.4 ~ 0.9 | 가 공 경 화 |
38 | 스프링 (연삭, 쇼트 피이닝, 부루잉 에나멜) |
[7] 기어의 열처리 경도에 따른 구분
경 도 | 구 분 |
HRC40± 2 | 기어의 이나 스프로킷의 이가 작은 경우 HRC50± 2 이상의 경도로 열처리를 실시하게 되면 강도가 강하여 쉽게 깨지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이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경도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
HRC50± 2 | 보통 전동축과 같이 운전중에 지속적으로 하중을 받는 부분에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열처리로 강도가 크게 요구되는 곳에 적용한다. |
HRC60± 2 | 보통 드릴부시의 경우처럼 공구와 부시(Bush)간에 직접적인 마찰이 발생하는 부분에 적용한다. 내륜이 없는 니들 베어링의 축 부분 등에 사용한다. |
[8] 부품별 재료기호 및 열처리 선정 범례
1. 동력전달/구동장치의 부품별 재료기호 및 열처리 선정 범례
부품의 명칭 | 재료의 기호 | 재료의 종류 | 특 징 | 열처리 및 도금, 도장 |
본체 또는 몸체 (BASE or BODY) |
GC200 | 회주철 | 주조성 양호, 절삭성 우수 복잡한 본체나 하우징, 공작기계 베드, 내연기관 실린더, 피스톤 등 펄라이트+페라이트+흑연 |
외면 명청, 명적색 도장 |
GC250 GC300 |
회주철 | |||
SC480 | 주강 | 강도를 필요로 하는 대형 부품, 대형 기어 | HRC50±2 외면 명회색 도장 | |
축 (SHAFT) |
SM45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탄소함유량 0.42~0.48 | 고주파 열처리 표면경도 HRC50~ |
SM15CK | 기계구조용 탄소강 | 탄소함유량 0.13~0.18(침탄 열처리) | 침탄용으로 사용 | |
SCM415 SCM435 SCM440 |
크롬 몰리브덴강 | 구조용 합금강으로 SCM415~SCM822 까지 10종이 있다. |
사삼산화철 피막 무전해 니켈 도금 전체열처리 HRC50±2 HRC35~40 (SCM435) HRC30~35 (SCM435) |
|
커버 (COVER) |
GC200 | 회주철 | 본체와 동일한 재질 사용 | 외면 명청, 명적색 도장 |
GC250 | 회주철 | |||
SC480 | 주강 | 본체와 동일한 재질 사용 | 외면 명청, 명적색 도장 | |
V벨트 풀리 (V-BELT PULLEY) |
GC200 GC250 |
회주철 | 고무벨트를 사용하는 주철제 V-벨트 풀리 | 외면 명청, 명적색 도장 |
스프로킷 (SPROCKET) |
SCM440 SCM45C |
크롬 몰리브덴강 | 용접형은 보스(허브)부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치형부 기계구조용 탄소강재 |
치부 열처리 HRC50±2 사삼산화철 피막 |
기계구조용 탄소강 | ||||
스퍼어기어 (SPUR GEAR) |
SNC415 | 니켈 크롬강 | 기어치부 열처리 HRC50±2 전체열처리 HRC50±2 |
|
SCM435 | 크롬 몰리브덴강 | |||
SC480 | 주강 | 대형 기어 제작 | ||
SM45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압력각 20°, 모듈 0.5~3.0 | 사삼산화철 피막 무전해 니켈 도금 기어치부 고주파 열처리 HRC50~55 |
|
래크 (RACK) |
SNC415 SCM435 |
니켈 크롬강 크롬 몰리브덴강 |
전체열처리 HRC50±2 | |
피니언 (PINION) |
SNC415 | 니켈 크롬강 | 전체열처리 HRC50±2 | |
웜 샤프트 (WORM SHAFT) |
SCM435 | 크롬 몰리브덴강 | 전체열처리 HRC50±2 | |
래칫 (RATCH) |
SM15CK | 기계구조용 탄소강 | 침탄열처리 | |
로프 풀리 (ROPE PULLEY) |
SC480 | 주강 | ||
링크 (LINK) |
SM45C | 주강 | ||
칼라 (COLLAR) |
SM45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베어링 간격유지용 링 | |
스프링 (SPRING) |
PW1 | 피아노선 | ||
베어링용 부시 | CAC502A | 인청동주물 | 구기호 : PBC2 | |
핸들 (HANDLE) |
SS400 | 일반구조용 압연강 | 인산염피막, 사삼산화철 피막, | |
평벨트 풀리 | GC250 SF340A |
회주철 탄소강 단강품 |
외면 명청, 명적색 도장 | |
스프링 | PW1 | 피아노선 | ||
편심축 | SCM415 | 크롬 몰리브덴강 | 전체열처리 HRC50±2 | |
힌지핀 (HINGE PIN) |
SM45C SUS440C |
기계구조용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
사삼산화철 피막, 무전해 니켈도금 HRC40~45 (SM45C) HRC45~50 (SUS440C) 경질크롬도금 도금 두께 3μm 이상 |
|
볼스크류 너트 | SCM420 | 크롬몰리브덴강 | 저온 흑색 크롬 도금 | 침탄열처리 HRC58~62 |
전조 볼스크류 | SM55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인산염 피막처리 | 고주파 열처리 HRC58~62 |
LM 가이드 본체, 레일 |
STS304 | 스테인레스강 | 열간 가공 스테인레스강, 오스테나이트계 | 열처리 HRC56~ |
사다리꼴 나사 | SM45C | 기계구조용 탄소강 | 30도 사다리꼴나사(왼, 오른나사) | 사삼산화철 피막 저온 흑색 크롬 도금 |
'기술지식 > 열처리도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풀림[annealing, 어닐링, 소둔, 야키나마시] (0) | 2022.03.06 |
---|---|
화성처리[chemical conversion coating] (0) | 2022.03.06 |
항온열처리 TTT선도, 연속냉각곡선 CCT선도 (0) | 2022.03.06 |
파커라이징[Parkerizing], 인산염피막처리, 흑피막 (0) | 2022.03.04 |
크로마이징[chromizing] & 크로마이트[chromite] (0) | 2022.03.03 |
큐폴라, 큐프로니켈, 크라우디온 (0) | 2022.03.02 |
도금의 목적과 역할, 도금의 종류 (0) | 2022.02.28 |
무전해니켈도금의 특징과 용도 (0) | 2022.02.24 |
서브제로(Sub zero) 처리란? (0) | 2022.02.17 |
금속에 녹이 슬었을 때 대책 (0) | 2022.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