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사의 제도
- 기술지식/KS규격&기계제도
- 2010. 8. 4. 14:25
반응형
반응형
![]() |
축이나 구멍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을 나사(screw)라 한다. 수나사(external screw)는 축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이고, 암나사(internal screw)는 구멍에 균일한 단면의 홈을 나선형으로 새긴 것이다. 나사는 두 개 이상의 부품을 결합하거나 힘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대표적인 결합용 기계요소이다. 1. 나사 각 부분의 명칭 그림 O1-1은 수나사와 암나사의 각 부분의 명칭을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2000년 12월에 개정된 KS B 0101(나사 용어)은 암나사의 골밑에 접하는 가상 원통의 지름을 골지름에서 바깥지름으로, 암나사의 산봉우리에 접하는 가상 원통의 지름을 안지름에서 골지름으로 변경하였다. 그러나 KS B0003-1(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제1부: 통칙), KS B 0201(미터 보통 나사) 등, 2000년 이전에 개정된 다른 규격에는 개정하기 전의 용어(안지름, 골지름)가 그대로 사용되고 있어서 혼란스럽다. |
![]() |
<그림 O1-1> |
2. 나사의 종류 ![]() ![]() ![]() ![]() ![]() ![]() ![]() ![]() ![]() ![]() ![]() ![]() ![]() ![]() ![]() ![]() 그림 O1-2는 나사의 종류를 나열한 것이고, 그림 O1-3은 여러 가지 나사산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
![]() |
<그림 O1-2> |
![]() |
<그림 O1-3> |
3. 나사의 표시 방법 나사의 표시 방법은 KS B 0200(나사의 표시 방법)에 따라 그림 O1-4와 같이 한다. 일반적으로 한줄, 오른 나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나사산의 감김 방향과 나사산 줄 수는 표시하지 않는다. 또, 나사의 등급도 생략하고 나사의 호칭만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많다. 미터 보통나사는 바깥지름에 따라 피치가 정해져 있고, 관용나사는 바깥지름에 따라 나사산의 수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피치와 나사산의 수를 표시하지 않는다. |
![]() |
<그림 O1-4> |
미터 사다리꼴나사의 표시 방법은 다음과 같이 한다.![]() ![]() ![]() ![]() ![]() ![]() 표 O1-1은 나사 종류별 표시 기호, 표시 예, 관련 표준규격 등을 정리한 것이다. 미니어처나사(miniature thread)는 나사산의 각도 60°, 바깥지름 0.3~1.4mm의 아주 작은 나사이며 시계, 광학 기기, 전기 기기, 계측기 등에 사용된다. |
구분 | 나사의 종류 | 표시 기호 | 표시 예 | 관련 규격 | ||
일반용 | ISO 규격에 있음 |
미터 보통나사 | M | M8 | KS B 0201 | |
미터 가는나사 | M8×1 | KS B 0204 | ||||
미니어처나사 | S | S0.5 | KS B 0228 | |||
유니파이 보통나사 | UNC | 3/8-16UNC | KS B 0203 | |||
유니파이 가는나사 | UNF | No.8-36UNF | KS B 0206 | |||
미터 사다리꼴나사 | Tr | Tr10×2 | KS B 0229 | |||
관용 테이퍼나사 | 테이퍼 수나사 | R | R3/4 | KS B 0222 | ||
테이퍼 암나사 | Rc | Rc3/4 | ||||
평행 암나사 | Rp | Rp3/4 | ||||
관용 평행나사 | G | G1/2 | KS B 0221 | |||
ISO 규격에 없음 |
30˚ 사다리꼴나사 | TM | TM18 | KS B 0227 | ||
29˚ 사다리꼴나사 | TW | TW20 | KS B 0226 | |||
관용 테이퍼나사 | 테이퍼나사 | PT | PT7 | KS B 0222 | ||
평행 암나사 | PS | PS7 | ||||
관용 평행나사 | PF | PF7 | KS B 0221 | |||
특수용 | 후강전선관나사 | CTG | CTG16 | KS B 0223 | ||
박강전선관나사 | CTC | CTC19 | ||||
자전거나사 | 일반용 | BC | BC3/4 | KS B 0224 | ||
스포크용 | BC2.6 | |||||
미싱나사 | SM | SM1/4 산40 | KS B 0225 | |||
전구나사 | E | E10 | KS C 7702 | |||
자동차용 타이어 밸브나사 | TV | TV8 | KS R 4006 | |||
자전거용 타이어 밸브나사 | CTV | CTV8 산30 | KS R 8044 |
<표 O1-1> |
4. 나사의 투상도 KS B 0003-1(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제1부: 통칙)에 따르면, 나사의 투상도는 꼭 필요한 경우에만 실제 모양대로 그리고 그 외에는 간단하게 그리도록 되어 있다. 그림 O1-5 (가)는 동력전달장치의 본체(body)와 커버(cover)를 결합할 때 사용하는 육각구멍붙이 캡 스크루(hex socket head cap screw)이다. (나)는 이 스크루의 수나사를 실제 모양대로 그린 것이고 (다)는 표준규격에 따라 간단하게 그린 것이다. 나사에서 나사산의 형태가 완전하지 못한 부분을 불완전나사부(incomplete thread)라 하는데 나사의 시작 부분과 끝 부분에 생긴다. |
![]() |
<그림 O1-5> |
그림 O1-6 (가)는 동력전달장치 본체의 암나사를 나타낸 것이다. 암나사를 만들 때에는 (나)처럼 먼저 드릴(drill)로 구멍을 뚫은 다음, 탭(tap)이라는 공구를 사용하여 (다)와 같이 나사를 만든다. 드릴로 구멍을 뚫는 과정을 드릴링(drilling), 나사를 만드는 과정을 태핑(tapping)이라 한다. (다)는 암나사를 실제 모양대로 그린 것이고 (라)는 간단하게 그린 투상도이다. |
![]() |
<그림 O1-6> |
나사의 투상도를 간단하게 그릴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 ![]() ![]() ![]() ![]() ![]() ![]() ![]() ![]() 5. 나사의 치수 기입 나사의 치수 기입도 KS B 0003-1(제도-나사 및 나사 부품-제1부: 통칙)에 따른다. 그림 O1-7은 동력전달장치의 축 끝에 만들어진 수나사(미터 보통나사 M10)에 치수를 기입한 것이다. 가장 일반적인 치수 기입 방법은 (가)와 같이 하는 것이다. (나)는 나사의 피치를 명시한 경우 (다)는 나사의 등급을 표시한 경우, (라)는 표면거칠기를 기입한 경우이다. |
![]() |
<그림 O1-7> |
그림 O1-8은 동력전달장치의 본체에 만들어진 암나사(미터 보통나사 M3)에 치수를 기입한 것이다. (가)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며 ‘8-M3’의 8은 암나사의 개수를 의미한다. (나)는 멈춤 구멍 깊이(6.25)와 암나사용 구멍의 지름(Ø2.5)을 명시한 경우, (다)와 (라)는 지시선을 사용하여 치수를 기입한 경우이다. (마)는 개정하기 전(1999년 이전)의 표준규격에 따라 치수를 기입한 것이다. |
![]() |
<그림 O1-8> |
표 O1-2는 KS B 0201(미터 보통나사), KS B 1006(암나사용 구멍 지름), KS B 1007(볼트 구멍 지름 및 카운터 보어 지름)에서 필요한 것만 발췌하여 하나의 표로 만든 것이다. 단위는 mm이다. 볼트(bolt) 구멍의 지름은 나사의 호칭지름(바깥지름) 별로 4개 등급이 있는데 주로 2급이 많이 사용된다. 볼트 구멍의 모떼기는 필요한 경우에만 적용하며 모떼기 각도는 90°를 원칙으로 한다. C' Dia는 카운터 보어(counter bore; 깊은 자리 파기) 지름인데, 여기에서는 깊이 2mm 정도로 부품의 표면을 살짝 깎아내는, 자리 파기(spot facing)의 지름을 의미한다. 암나사를 만들기 위하여 드릴로 구멍을 뚫을 때, 구멍을 너무 작게 뚫으면 절삭저항이 커져서 가공 면이 거칠게 되고 탭이 파손될 수도 있다. 반대로 구멍이 너무 크면 나사산이 제대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표준규격에서 제시하는 암나사용 구멍의 지름은 나사의 접촉율에 따라 9개 계열이 있는데, 표 O1-2에서는 접촉율 90%의 암나사를 만들 때 적절한 구멍의 지름을 나타낸 것이다. 미터 보통나사에서 암나사용 구멍의 지름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 암나사용 구멍을 뚫을 때 사용하는 드릴을 특히 탭 드릴(tap drill)이라 하는데 표에서 보는 것처럼 계산으로 구한 구멍의 지름과 약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그림 O1-8의 (나)와 같이 도면에 암나사용 구멍의 지름을 명시하려면 실제로 사용되는 탭 드릴의 지름을 참조할 필요가 있다. |
호칭 | 피치 | 바깥지름 | 골지름 | 접촉 높이 | 볼트용 구멍 지름 | 암나사용 구멍 지름 | |||
2급 | 모떼기 | C' Dia | 90% | 탭 드릴 | |||||
M1 | 0.25 | 1.0 | 0.729 | 0.135 | 1.2 | 0.2 | 3 | 0.76 | 0.75 |
M1.1 | 0.25 | 1.1 | 0.829 | 0.135 | - | - | - | 0.86 | 0.85 |
M1.2 | 0.25 | 1.2 | 0.929 | 0.135 | 1.4 | 0.2 | 4 | 0.96 | 0.95 |
M1.4 | 0.30 | 1.4 | 1.075 | 0.162 | 1.6 | 0.2 | 4 | 1.11 | 1.10 |
M1.6 | 0.35 | 1.6 | 1.221 | 0.189 | 1.8 | 0.2 | 5 | 1.26 | 1.25 |
M1.8 | 0.35 | 1.8 | 1.421 | 0.189 | 2.1 | 0.2 | 5 | 1.46 | 1.45 |
M2 | 0.40 | 2.0 | 1.567 | 0.217 | 2.4 | 0.3 | 7 | 1.61 | 1.60 |
M2.2 | 0.45 | 2.2 | 1.713 | 0.244 | 2.6 | 0.3 | 8 | 1.76 | 1.75 |
M2.5 | 0.45 | 2.5 | 2.013 | 0.244 | 2.9 | 0.3 | 8 | 2.06 | 2.05 |
M3 | 0.50 | 3.0 | 2.459 | 0.271 | 3.4 | 0.3 | 9 | 2.51 | 2.50 |
M3.5 | 0.60 | 3.5 | 2.850 | 0.325 | 3.9 | 0.3 | 10 | 2.92 | 2.90 |
M4 | 0.70 | 4.0 | 3.242 | 0.379 | 4.5 | 0.4 | 11 | 3.32 | 3.30 |
M4.5 | 0.75 | 4.5 | 3.688 | 0.406 | 5.0 | 0.4 | 13 | 3.77 | 3.80 |
M5 | 0.80 | 5.0 | 4.134 | 0.433 | 5.5 | 0.4 | 13 | 4.22 | 4.20 |
M6 | 1.00 | 6.0 | 4.917 | 0.541 | 6.6 | 0.4 | 15 | 5.03 | 5.00 |
M7 | 1.00 | 7.0 | 5.917 | 0.541 | 7.6 | 0.4 | 18 | 6.03 | 6.00 |
M8 | 1.25 | 8.0 | 6.647 | 0.677 | 9.0 | 0.6 | 20 | 6.78 | 6.80 |
M9 | 1.25 | 9.0 | 7.647 | 0.677 | - | - | - | 7.78 | 7.80 |
M10 | 1.50 | 10.0 | 8.376 | 0.812 | 11.0 | 0.6 | 24 | 8.54 | 8.50 |
M11 | 1.50 | 11.0 | 9.376 | 0.812 | - | - | - | 9.54 | 9.50 |
M12 | 1.75 | 12.0 | 10.106 | 0.947 | 13.5 | 1.1 | 28 | 10.3 | 10.20 |
M14 | 2.00 | 14.0 | 11.835 | 1.083 | 15.5 | 1.1 | 32 | 12.1 | 12.00 |
M16 | 2.00 | 16.0 | 13.835 | 1.083 | 17.5 | 1.1 | 35 | 14.1 | 14.00 |
M18 | 2.50 | 18.0 | 15.294 | 1.353 | 20.0 | 1.1 | 39 | 15.6 | 15.50 |
M20 | 2.50 | 20.0 | 17.294 | 1.353 | 22.0 | 1.2 | 43 | 17.6 | 17.50 |
M22 | 2.50 | 22.0 | 19.294 | 1.353 | 24.0 | 1.2 | 46 | 19.6 | 19.50 |
M24 | 3.00 | 24.0 | 20.752 | 1.624 | 26.0 | 1.2 | 50 | 21.1 | 21.00 |
M27 | 3.00 | 27.0 | 23.752 | 1.624 | 30.0 | 1.7 | 55 | 24.1 | 24.00 |
M30 | 3.50 | 30.0 | 26.211 | 1.894 | 33.0 | 1.7 | 62 | 26.6 | 26.50 |
M33 | 3.50 | 33.0 | 29.211 | 1.894 | 36.0 | 1.7 | 66 | 29.6 | 29.50 |
M36 | 4.00 | 36.0 | 31.670 | 2.165 | 39.0 | 1.7 | 72 | 32.1 | 32.00 |
M39 | 4.00 | 39.0 | 34.670 | 2.165 | 42.0 | 1.7 | 76 | 35.1 | 35.00 |
M42 | 4.50 | 42.0 | 37.129 | 2.436 | 45.0 | 1.8 | 82 | 37.6 | 37.50 |
M45 | 4.50 | 45.0 | 40.129 | 2.436 | 48.0 | 1.8 | 87 | 40.6 | 40.50 |
M48 | 5.00 | 48.0 | 42.587 | 2.706 | 52.0 | 2.3 | 93 | 43.1 | 43.00 |
M52 | 5.00 | 52.0 | 46.587 | 2.706 | 56.0 | 2.3 | 100 | 47.1 | 47.00 |
M56 | 5.50 | 56.0 | 50.046 | 2.977 | 62.0 | 3.5 | 110 | 50.6 | 50.50 |
M60 | 5.50 | 60.0 | 54.046 | 2.977 | 66.0 | 3.5 | 115 | 54.6 | 54.50 |
M64 | 6.00 | 64.0 | 57.505 | 3.248 | 70.0 | 3.5 | 122 | 58.2 | 58.00 |
M68 | 6.00 | 68.0 | 61.505 | 3.248 | 74.0 | 3.5 | 127 | 62.2 | 62.00 |
<표 O1-2>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