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도금강판[tin plate]
- 기술지식/기계재료
- 2017. 2. 6. 13:37
반응형
반응형
주석도금강판 [tin
plate]
주석도금강판은함석판이라고도 하고 캔이나 용기재료에 쓰인다. 주요 용도는 통조림의 캔, 일반캔(과자, 오일, 세제 등의 캔), 왕관, 캡 등이 있는데, 주석은 자원이 적고 고가이므로 20여년 주석을 사용하지 않는 캔(틴프리스틸)의 사용이 증가하는데, 그 주요한 것은 전해크로메이트처리 강판이다.
이전에는
용융도금법에 의한 것이 주였으나 현재는 대부분 전기도금법에 의한다.
도금의
부착량은 전기도금의 경우 한쪽 면에 대해 2.8~11.2g/m2으로,
양면에서
같은 부착량의 제품과 다른 것이 있다.
주석도금층은
통상 소지의 강에 가까운 쪽부터 철-주석합금층,
주석층,
산화물층,
도유층(塗油層)으로
구성되고 있다.
광택마감의
제품은 도금 후에 주석층의 용융처리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강-주석층의
계면에 합금층이 생성되고 주석층은 응고조직이다.
주석도금강판은
전기분해에 의한 크로메이트처리(화성처리)를
실시함으로써 내산화성,
내황화흑변성,
도료접착성을
향상시킨다.
이
때문에 표면에 화성처리피막(산화물)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면실유,
DOS(dioctyl sebacate) 등을
도유하여 흠집부착과 산화방지를 하고 있다.
주석은
일반적으로 강보다 전위를 귀하게 여기는데,
대부분
통조림의 내용물이 주석이온과 착화합물을 만들어 내용물 속 주석이온의 활량을 내리기 때문에,
전위는
역전하고 주석에 의해 강이 캐소드방식(☞전기방식)으로
된다.
이
결과 주석은 소모된다.
주석층이
있는 틈의 부식은 수소발생을 수반하지 않으나 소실하면 수소가 발생하고 축적되면 그 압력에 의해 캔에 팽창이 생긴다(수소팽창캔).
박테리아의
번식에 의한 가스로 캔이 팽창하는 경우도 있다.
고기,
어육류의
통조림에서는 식품 속에 들어있는 유황분과 주석층이 반응하여 흑변(黑變)하는
경우가 있어,
전술한
크로메이트처리는 그 방지에 도움이 된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기술지식 > 기계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스텐레스, 복합 베어링 재료의 내약품성 (0) | 2017.03.07 |
---|---|
플라스틱물성표 (0) | 2017.03.07 |
불소수지 물성표 (0) | 2017.03.07 |
열처리의 개요 및 열처리 목적과 열처리 종류 요약 (0) | 2017.03.02 |
열처리의 종류 및 설명 (0) | 2017.02.28 |
침탄강 (0) | 2017.01.26 |
강인강 (0) | 2017.01.26 |
기계구조용탄소강 (0) | 2017.01.24 |
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heet, zinc coated steel sheet] (0) | 2017.01.23 |
니켈도금과 주석도금 (0) | 2017.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