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테나이트,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 오스테나이트주철
- 기술지식/기계재료
- 2017. 1. 14. 10:58
반응형
반응형
오스테나이트[austenite]
면심입방구조의 γ철에 탄소 등 다른 원소가 고용(固溶)한 상(相)의 명칭. 영국인 오스텐(R. Austen)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Fe-C계의 오스테나이트는 726~1495℃ 사이에서 안정상으로 존재하고, 탄소강에서는 급냉해도 오스테나이트만의 조직은 얻지 못하지만 Mo 또는 Ni을 첨가하면 쉽게 오스테나이트조직이 얻어진다.
비자성으로
전기저항은 크고,
경도는
마르텐사이트보다 작으나 인장강도에 비교하여 신장은 크다.
오스테나이트의
안정화[stabilization
of austenite]
강의 오스테나이트가 안정화되고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가 일어나기 어렵게 되는 현상.
마르텐사이트변태 도중에서 냉각을 중단, 그 온도를 유지하면 냉각을 재개해도 마르텐사이트변태는 바로 재개되지 않고 수십도 과냉한 후 시작된다.
기름담금질에서
일어나기 쉽다.
오스테나이트주철[austenite cast iron]
오스테나이트의
바탕에 편상흑연(片狀黑鉛)이
산재하는 조직의 주철로,
Ni(12%이상)을
주로 Cu,
Cr, Mn 등을
첨가한다.
내식내열성이
좋고 비자성에서 절삭이 가능하다.
니레지스트,
니크로시랄
등의 이름으로 불리우고 있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기술지식 > 기계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탄[titanium]과 티탄합금[titanium alloy] (0) | 2017.01.18 |
---|---|
베어링재료[bearing materials] (0) | 2017.01.16 |
응력, 응력부식, 응력부식균열 (0) | 2017.01.16 |
실리콘[silicon] (0) | 2017.01.14 |
알루미늄합금 (0) | 2017.01.14 |
연삭과 연마 기술용어의 차이 (0) | 2017.01.13 |
용융아연도금[galvanizing] (0) | 2017.01.13 |
레이저가공[laser processing] (0) | 2017.01.11 |
마르텐사이트변태 (0) | 2017.01.11 |
니켈-크롬합금[nickel-chromium alloy] (0) | 2017.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