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수공차(tolerance)
- 기술지식/KS규격&기계제도
- 2010. 8. 4. 14:33
반응형
반응형
![]() |
1. 치수공차 용어 그림 L1-1은 치수공차(tolerance)에 사용되는 용어를 나타낸 것이다. ![]() ![]() ![]() ![]() ![]() ![]() ![]() ![]() ![]() |
![]() |
<그림 L1-1> |
2. 보통공차 편차가 없는 완벽한 치수로 부품을 가공할 수는 없다. 따라서 도면에 기입되는 모든 치수에 공차가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치수는 특별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보통공차(general tolerance)는 특별한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 부분에 일일이 공차를 기입하지 않고 일괄하여 기입할 목적으로 규정되었다. 보통공차를 적용함으로써 설계자는 특별한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는 치수의 공차까지 결정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또, 제도자는 모든 치수에 일일이 공차를 기입하지 않아도 되며 도면이 훨씬 간단해진다. 뿐만 아니라 비슷한 기능을 가진 부분들의 공차 등급이 설계자에 관계없이 동일하므로 제작자가 효율적으로 부품을 생산할 수 있다. 보통공차 관련 KS 규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표 L1-1은 절삭 가공품의 길이 치수에 대한 보통공차(모떼기 부분 제외)를 나타낸 것이고, 표 L1-2는 모떼기 부분의 길이 치수에 대한 보통공차를, 표 L1-3은 각도 치수에 대한 보통공차를 나타낸 것이다.(KS B 0412) |
기준 치수(mm) | 공차 등급 및 허용차(mm) | |||
정밀급(f) | 보통급(m) | 거친급(c) | 아주 거친급(v) | |
0.5이상 3이하 | ±0.05 | ±0.1 | ±0.2 | |
3초과 6이하 | ±0.05 | ±0.1 | ±0.3 | ±0.5 |
6초과 30이하 | ±0.1 | ±0.1 | ±0.5 | ±1.0 |
30초과 120이하 | ±0.15 | ±0.3 | ±0.8 | ±1.5 |
120초과 315이하 | ±0.2 | ±0.5 | ±1.2 | ±2.5 |
315초과 1000이하 | ±0.3 | ±0.8 | ±2.0 | ±4.0 |
1000초과 2000이하 | ±0.5 | ±1.2 | ±3.0 | ±6.0 |
2000초과 4000이하 | ±0.2 | ±4.0 | ±8.0 |
<표 L1-1> |
기준 치수(mm) | 공차 등급 및 허용차(mm) | |||
정밀급(f) | 보통급(m) | 거친급(c) | 아주 거친급(v) | |
0.5이상 3이하 | ±0.2 | ±0.2 | ±0.4 | ±0.4 |
3초과 6이하 | ±0.5 | ±0.5 | ±1.0 | ±1.0 |
6초과 | ±1.0 | ±1.0 | ±2.0 | ±2.0 |
<표 L1-2> |
짧은 변의 길이(mm) | 공차 등급 및 허용차 | |||
정밀급(f) | 보통급(m) | 거친급(c) | 아주 거친급(v) | |
10이하 | ±1˚ | ±1˚ | ±1˚30´ | ±3˚ |
10초과 50이하 | ±0˚30´ | ±0˚30´ | ±1˚ | ±2˚ |
50초과 120이하 | ±0˚20´ | ±0˚20´ | ±0˚30´ | ±1˚ |
120초과 400이하 | ±0˚10´ | ±0˚10´ | ±0˚15´ | ±0˚30´ |
400초과 | ±0˚5´ | ±0˚5´ | ±0˚10´ | ±0˚20´ |
<표 L1-3> |
표 L1-4는 KS B 0250 부속서 1에 있는 주철품의 길이 치수에 대한 보통공차를 옮긴 것이고, 표 L1-5는 KS B 0418에 있는 주강품의 길이 치수에 대한 보통공차를 옮긴 것이다. |
기준 치수(mm) | 회주철품의 허용차(mm) | 구상흑연주철품의 허용차(mm) | ||
정밀급 | 보통급 | 정밀급 | 보통급 | |
120이하 | ±1.0 | ±1.5 | ±1.5 | ±2.0 |
120초과 250이하 | ±1.5 | ±2.0 | ±2.0 | ±2.5 |
250초과 400이하 | ±2.0 | ±3.0 | ±3.5 | ±3.5 |
400초과 800이하 | ±3.0 | ±4.0 | ±4.0 | ±5.0 |
800초과 1600이하 | ±4.0 | ±6.0 | ±5.0 | ±7.0 |
1600초과 3150이하 | ±10.0 | ±10.0 |
<표 L1-4> |
기준 치수(mm) | 공차 등급 및 허용차(mm) | ||
A급 | B급 | C급 | |
120이하 | ±1.8 | ±2.8 | ±4.5 |
120초과 315이하 | ±2.5 | ±4.0 | ±6.0 |
315초과 630이하 | ±3.5 | ±5.5 | ±9.0 |
630초과 1250이하 | ±5.0 | ±8.0 | ±12.0 |
1250초과 2500이하 | ±9.0 | ±14.0 | ±22.0 |
2500초과 5000이하 | ±20.0 | ±35.0 | |
5000초과 10000이하 | ±63.0 |
<표 L1-5> |
보통공차는 그림 L1-2와 같이 주(note)란에 기입한다. 그림 L1-2의 투상도에 기입된 치수 중에서 공차가 지정된 치수는 58±0.005(그림 L1-2-가) 하나 뿐이다. 나머지 공차가 지정되지 않은 치수는 공차가 없다는 뜻이 아니라 주(note)란에 있는 보통공차를 적용한다는 의미이다. ![]() ![]() ![]() |
![]() |
<그림 L1-2> |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기술지식 > KS규격&기계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퍼어기어 제도 및 요목표 (0) | 2010.08.16 |
---|---|
평행키 (parallel key) (0) | 2010.08.13 |
플러머 블록 제도 및 치수기입 (0) | 2010.08.11 |
오일실 치수기입법 (0) | 2010.08.11 |
평행키 기계제도 치수기입 (0) | 2010.08.11 |
끼워맞춤 (0) | 2010.08.04 |
끼워맞춤의 적용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필요성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종류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도시 (0)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