끼워맞춤
- 기술지식/KS규격&기계제도
- 2010. 8. 4. 14:32
반응형
반응형
![]() |
보통공차가 길이 치수와 각도 치수에 대한 공차라면 끼워맞춤(fit)은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공차 방식(system)이다. 끼워 맞춰지는 구멍과 축 사이의 관계라고 이해하면 된다. 다만 끼워맞춤에서의 구멍(hole)은 구멍과 같은 역할을 하는 안쪽 형체 모두를 의미하고, 축(shaft)은 축과 같은 기능을 가진 바깥쪽 형체 모두를 의미한다는 것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끼워맞춤은 다음의 두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 ![]() 도면에 끼워맞춤을 지시할 때에는 기준 치수 다음에 이 두 가지 요소를 함께 표시해야 한다. ![]() ![]() 구멍 또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과 IT 등급을 합해서 공차 등급(tolerance grade)이라 부른다. 1. IT 등급 IT(international tolerance) 등급은 0mm 초과, 500mm 이하의 기준 치수에 대하여 IT 01, IT 0, IT 1, IT 2 ... IT 18까지 20개 등급이 있으며, 기준 치수가 500mm 초과, 3150mm 이하인 경우에는 IT 1, IT 2 ... IT 18까지 18개 등급이 있다.(KS B 0008-1 부속서 A: 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의 기초) 표 L2-1은 기준 치수 500mm이하에 대한 IT 등급별 공차의 일부를 나타낸 것이다. 기준 치수가 클수록, IT 등급이 높을수록 공차가 커진다. |
기준 치수 (mm) |
IT 등급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
초과 | 이하 | 공차(μm) | 공차(mm) | |||||||||||
3 | 0.8 | 1.2 | 2 | 3 | 4 | 6 | 10 | 14 | 25 | 40 | 60 | 0.10 | 0.14 | |
3 | 6 | 1 | 1.5 | 2.5 | 4 | 5 | 8 | 12 | 18 | 30 | 48 | 75 | 0.12 | 0.18 |
6 | 10 | 1 | 1.5 | 2.5 | 4 | 6 | 9 | 15 | 22 | 36 | 58 | 90 | 0.15 | 0.22 |
10 | 18 | 1.2 | 2 | 3 | 5 | 8 | 11 | 18 | 27 | 43 | 70 | 110 | 0.18 | 0.27 |
18 | 30 | 1.5 | 2.5 | 4 | 6 | 9 | 13 | 21 | 33 | 52 | 84 | 130 | 0.21 | 0.33 |
30 | 50 | 1.5 | 2.5 | 4 | 7 | 11 | 16 | 25 | 39 | 62 | 100 | 160 | 0.25 | 0.39 |
50 | 80 | 2 | 3 | 5 | 8 | 13 | 19 | 30 | 46 | 74 | 120 | 190 | 0.30 | 0.46 |
80 | 120 | 2.5 | 4 | 6 | 10 | 15 | 22 | 35 | 54 | 87 | 140 | 220 | 0.35 | 0.54 |
120 | 180 | 3.5 | 5 | 8 | 12 | 18 | 25 | 40 | 63 | 100 | 160 | 250 | 0.40 | 0.63 |
180 | 250 | 4.5 | 7 | 10 | 14 | 20 | 29 | 46 | 72 | 115 | 185 | 290 | 0.46 | 0.72 |
250 | 315 | 6 | 8 | 12 | 16 | 23 | 32 | 52 | 81 | 130 | 210 | 320 | 0.52 | 0.81 |
315 | 400 | 7 | 9 | 13 | 18 | 25 | 36 | 57 | 89 | 140 | 230 | 360 | 0.57 | 0.89 |
400 | 500 | 8 | 10 | 15 | 20 | 27 | 40 | 63 | 97 | 155 | 250 | 400 | 0.63 | 0.97 |
<표 L2-1> |
표 L2-2는 IT 등급별 용도를 나타낸 것이다. 정밀 측정 기구인 게이지(gauge) 제작에는 공차가 작은, 낮은 등급이 사용된다. 구멍의 IT 등급은 축의 IT 등급보다 한 등급 위의 것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축이 IT 5이면 구멍은 IT 6을 적용한다. 구멍이 축보다 가공하기 어렵기 때문에 더 큰 공차를 허용하는 것이다. |
용도 | 게이지 제작 | 끼워맞춤 | 끼워맞춤 외 |
구멍 | IT 01 ∼ IT 5 | IT 6 ∼ IT 10 | IT 11 ∼ IT 18 |
축 | IT 01 ∼ IT 4 | IT 5 ∼ IT 9 | IT 10 ∼ IT 18 |
<표 L2-2> |
2.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 그림 L2-1 (가)와 같이 구멍의 치수가 Ø48이고 IT 등급이 7이라면 위의 표 L2-1에서 기준 치수 30초과 50이하, IT 7등급에 해당된다. 따라서 이 구멍의 공차는 25μm(0.025mm)이다. 그렇다면 이 구멍의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는 얼마일까? ![]() ![]() ![]() ![]() ![]() ![]() ![]() ![]() ![]()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fundamental deviation)는 IT 등급과 함께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를 구할 때 기준이 되는 치수 허용차이며, 위 치수 허용차와 아래 치수 허용차 중 기준 치수에 가까운 것을 기초가 되는 치수 허용차로 한다. |
![]() |
<그림 L2-1> |
3.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 KS B 0008-2(치수공차 및 끼워맞춤 방식-제2부: 구멍 및 축의 공차 등급과 치수 허용차의 표)는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구멍과 축의 치수 허용차를 각각 28 등급으로 정의하고 다음 규칙에 따라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 ![]() ![]() ![]() ![]() ![]() ![]()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은 구멍과 축을 분류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구멍과 축의 종류로 설명되는 경우가 많다. 그림 L2-2는 구멍과 축에 대한 표준 공차 등급과 치수 허용차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낸 것이다. |
![]() |
<그림 L2-2> |
그림 L2-2에서 구멍의 표준 공차 등급 B, H, ZC에 대하여 설명하면 표 L2-3과 같다. |
등급 | 의미 |
B | ![]() ![]() ![]() ![]() ![]() ![]() |
H | ![]() ![]() ![]() ![]() ![]() ![]() |
ZC | ![]() ![]() ![]() ![]() ![]() ![]() |
<표 L2-3> |
![]() |
<그림 L2-3> |
표 L2-4는 축의 표준 공차 등급 d, h, u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
등급 | 의미 |
d | ![]() ![]() ![]() ![]() ![]() ![]() |
h | ![]() ![]() ![]() ![]() ![]() ![]() |
u | ![]() ![]() ![]() ![]() ![]() ![]() |
<표 L2-4> |
4. 끼워맞춤의 종류 끼워맞춤에서 사용하는 틈새와 죔새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끼워맞춤을 끼워맞춤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 표 L2-5는 상용하는 구멍 기준 끼워맞춤(preferred tolerance for holes)이고, 표 L2-6은 상용하는 축 기준 끼워맞춤(preferred tolerance for shafts)이다. 상용하는 끼워맞춤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끼워맞춤을 모아 규정한 것이다. 끼워맞춤을 끼워맞춤 상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 ![]() ![]() |
구멍 | 축의 공차 등급 | ||||||||||||||||
헐거운 끼워맞춤 | 중간 끼워맞춤 | 억지 끼워맞춤 | |||||||||||||||
H6 | g5 | h5 | js5 | k5 | m5 | ||||||||||||
f6 | g6 | h6 | js6 | k6 | m6 | n6 | p6 | ||||||||||
H7 | f6 | g6 | h6 | js6 | k6 | m6 | n6 | p6 | r6 | s6 | t6 | u6 | x6 | ||||
e7 | f7 | h7 | js7 | ||||||||||||||
H8 | f7 | h7 | |||||||||||||||
e8 | f8 | h8 | |||||||||||||||
d9 | e9 | ||||||||||||||||
H9 | d8 | e8 | h8 | ||||||||||||||
c9 | d9 | e9 | h9 | ||||||||||||||
H10 | b9 | c9 | d9 |
<표 L2-5> |
축 | 구멍의 공차 등급 | ||||||||||||||||
헐거운 끼워맞춤 | 중간 끼워맞춤 | 억지 끼워맞춤 | |||||||||||||||
h5 | H6 | JS6 | K6 | M6 | N6 | P6 | |||||||||||
h6 | F6 | G6 | H6 | JS6 | K6 | M6 | N6 | P6 | |||||||||
F7 | G7 | H6 | JS7 | K7 | M7 | N7 | P7 | R7 | S7 | T7 | U7 | X7 | |||||
h7 | E7 | F7 | H7 | ||||||||||||||
F8 | H8 | ||||||||||||||||
h8 | D8 | E8 | F8 | H8 | |||||||||||||
D9 | E9 | H9 | |||||||||||||||
h9 | D8 | E8 | H8 | ||||||||||||||
C9 | D9 | E9 | H9 | ||||||||||||||
B10 | C10 | D10 |
<표 L2-6> |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기술지식 > KS규격&기계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행키 (parallel key) (0) | 2010.08.13 |
---|---|
플러머 블록 제도 및 치수기입 (0) | 2010.08.11 |
오일실 치수기입법 (0) | 2010.08.11 |
평행키 기계제도 치수기입 (0) | 2010.08.11 |
치수공차(tolerance) (0) | 2010.08.04 |
끼워맞춤의 적용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필요성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종류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도시 (0) | 2010.08.04 |
기하공차의 적용 (0) | 2010.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