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 지내는 방법

반응형
반응형

제사지내는방법

제사는 돌아가신 조상을 기리는 전통 의식이다. 제사에는 여러 종류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즉 기일에 치르는 기제사와 명절 때 치르는 차례를 주로 지낸다. 따라서 보통 제사라고 하면 기제사를 말하기 쉽다.

 

 

기제사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낸다.

 

 

집안마다 다른 제사의 절차

제사를 가가례(家家禮)라고 할 정도로 제사를 지내는 방법은 집안마다 다르다. 어떤 집은 제사 음식을 미리 차려두고 절차를 진행하기도 하고, 어떤 집은 찬 음식은 미리 차리고 후에 뜨거운 음식(국, 고기, 생선, 국, 떡 등)을 내오기도 한다. 밥뚜껑을 여는 시점도 술을 다 올리고 열기도 하고 술을 올리면서 여는 경우도 있다. 여자가 네 번 절하기도 하지만, 남자와 같이 두 번 절하기도 하고, 아예 여자가 제사에 참석하지 않는 집안도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사 지내는 방법을 잘 모른다면, 집안의 어른에게 물어보는 것이 가장 좋다. 이 글에서는 대체적인 제사의 방법을 소개하며, 평소 집안에서 지내는 방법과 다를 경우에는 집안의 방법을 따르기를 권한다.

 

 

제사의 시기

기제사는 전통적으로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의 첫 새벽(새벽 0시 직후)에 지냈다. 그러나 오늘날은 이렇게 되면 가족들의 참석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어, 보통은 기일의 저녁 시간에 지내는 경우가 많다. 차례의 경우 명절의 오전 시간에 지내는 것이 보통이다.

 


제사의 절차

제사의 주인이 되는 사람을 제주(祭主)라고 하고, 제주를 돕는 사람을 집사라고 한다. 제사에서는 술을 3번 올리는데, 각각 '초헌', '아헌', '종헌'이라고 한다. 다음 영상은 '초헌'이라는 절차를 보여준다. 영상 후에는 대체적인 제사의 절차를 나열하였다.

 

 

1. 강신 : 제주가 향을 피운다. 집사가 잔에 술을 부어주면, 제주가 모삿그릇에 3번 나누어 붓고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실 때에는 아래 참신을 먼저 하고 강신한다.
2. 참신 : 일동이 모두 두 번 절한다.

3. 초헌 : 집사가 잔을 제주에게 주고 술을 부어준다. 제주는 잔을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집사에게 준다.

              집사가 술을 올리고, 젓가락을 음식 위에 놓는다. 제주가 두 번 절한다.

4. 독축 : 모두 꿇어 않고 제주가 축문을 읽는다. 다 읽으면 모두 두 번 절한다.

5. 아헌 : 두 번째로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부인 혹은 고인과 제주 다음으로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초헌과 같다.

6. 종헌 : 세 번째 술을 올리는 것으로, 제주의 자식 등 고인과 가까운 사람이 한다.

              절차는 아헌과 같은데, 술을 7부로 따라서, 첨잔을 할 수 있도록 한다.

7. 유식 : 제주가 제상 앞에 꿇어앉고, 집사는 남은 술잔에 첨잔한다. 제주의 부인이 밥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꽂는다.

              젓가락을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이를 삽시정저(揷匙定箸)라고 한다. 제주가 두 번, 부인이 네 번 절한다.

8. 합문 : 문 밖에 나가 잠시 기다린다. 어쩔 수 없는 경우 일동 무릎을 꿇고 잠시 기다린다.

9. 헌다 : 국을 물리고 숭늉을 올린다. 밥을 숭늉에 세 번 말아 놓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잠시 무릎을 꿇고 기다린다.

10. 사신 : 숭늉의 수저를 거두고 밥그릇을 닫는다. 일동 두 번 절한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11. 철상 : 제사 음식을 물린다. 뒤에서부터 차례로 한다.

12. 음복 : 제수를 나누어 먹는다.

 

모삿그릇에 술을 3번 나누어 붓는 장면.

첨잔 후 밥에 숟가락을 꽂는 장면.

 

 

축문의 의미

전통적으로 축문에는 정해진 형식이 있어서 해당하는 문구만 경우에 맞게 바꾸어서 사용했다. 축문은 유세차(維歲次)로 시작해서 헌상향(獻尙饗)으로 끝나게 되는데, 그 뜻은 대략 다음과 같다.

 

"몇 년 몇 월 몇 일에 누구(제주)가 말씀드립니다. 아버님, 어머님(혹은 다른 조상님). 해가 바뀌어 다시 돌아가신 날이 돌아왔습니다. 하늘같이 높고 헤아릴 수 없는 은혜를 잊지 못하고 맑은 술과 몇 가지 음식을 준비하여 제사를 드리니 받아 주시옵소서."

 

오늘날에도 한문으로 축문을 쓰는 경우도 있지만, 같은 취지의 글을 한글로 쓰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한문을 이해하지 못하는 세대가 늘어감에 따라 나온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자료제공 용인시 예절교육관 http://ye.yonginsi.net/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

'노구라 > 노구라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풍 [丹楓]  (0) 2010.11.08
원희룡의원님과 소통하다.ㅎㅎ  (0) 2010.11.04
서율이  (0) 2010.10.20
하정남 화백이 그려준 그림-봉평에서  (0) 2010.10.07
노래하는 서율이  (0) 2010.10.07
바텐더 불쑈~~  (0) 2010.09.11
뜨끈한 오뎅국물에 소주 한잔이 그리운 날입니다.  (0) 2010.09.09
백일사진  (0) 2010.09.07
여유롭고 깨끗한 시골 풍경  (0) 2010.09.07
맛있는 치킨 통닭^^  (0) 2010.09.07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