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지식/기계재료
고온취성[high temperature brittleness]
노구라
2016. 12. 22. 15:29
반응형
일반적으로 고온에서 연성이 저하하여 균열이 생기는 것. 취성이라고는 하지만 입계연성파괴가 많다.
열간취성(hot shortness)으로 불리우는 경우도 있다.
고온취성․열간취성이라는 말은 다시 백열취성(>1100℃), 적열취성(~1000℃)을 포함하는 경우와 각각 구별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청열취성은 약간 다르다).
고온취성의 원인은 여러 온도범위에서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①녹는점 근방에서는 수지상정간이나 결정립계에 잔존 또는 석출한 FeS나 Cu 등이 연성을 저하시킨다.
②1000℃ 전후의 오스테나이트 영역에서는 MnS, AlN, NbC 등의 황화물, 질화물, 탄화물 등의 입계석출에 의한 취화가 일어난다(적열취성).
③α+γ 2상영역에서는 오스테나이트입계의 페라이트로의 응력집중 또는 오스테나이트입계로의 탄화물․질화물의 석출로 입계파괴가 일어난다.
이 경우는 변형속도가 작을수록 취화가 크다.
반응형
사업자 정보 표시펼치기/접기
(주)메카피아 | 노수황 | 서울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145, 2004 (가산동, 에이스하이엔드타워3차) | 사업자 등록번호 : 140-81-29454 | TEL : 02-2624-0896 | Mail : mechapia@mechapia.com | 통신판매신고번호 : 제 2014-서울금천-0444호호 | 사이버몰의 이용약관 바로가기